
▲서울광장에 마련된 고 박원순 시장 시민분향소
박원순 서울시장이 극단적인 선택으로 삶을 마감한 가운데 13일 박 시장의 장례방법을 놓고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박 시장은 지난 10일 새벽 서울 삼청동 숙정문 인근에서 숨진 채로 발견됐다. 며칠 전 박 시장의 성추행 고소건이 접수됐다는 소식도 전해지면서 박 시장을 향한 시각이 엇갈렸다.
서울시는 박 시장의 장례를 서울특별시장(葬)으로 5일장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5일장을 치른 끝에 이날 온라인 영결식을 끝으로 박 시장의 장례식 절차는 모두 마무리 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박 시장의 서울특별시장이 옳은 결정이냐를 놓고 반발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성추행 피소를 당한 피의자가 극단적 선택을 했는데 특별시장이 웬 말이냐”는 주장이 제기된 것이다.
박 시장이 성추행 피소를 인지하고 극단적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은만큼 국민의 세금을 들여 서울특별시장을 치르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다.
정의당 등 야당 일부 의원들은 “박 시장을 추모하지만 조문하지 않겠다”면서 성추행 피해고소인의 곁에 서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서울특별시장과 가족장(葬)은 큰 차이가 있다.
서울특별시장은 서울시청 광장에 조문장소를 마련하고, 시민들이 추모할 수 있게 된다. 이번 서울특별시장에도 대규모 제단이 마련됐으며, 시민들이 박 시장의 영전에 국화를 헌화했다.
박 시장은 서울특별시장을 통해 대통령 명의의 조화를 받았고, 정부여당 주요인사를 비롯해 야당 인사들도 조문했다.
하지만 박 시장이 생전에 원했던 작은 장례식의 방법 중 하나인 가족장은 가족끼리 간소하게 치르는 장례 방법이다.
가족장은 조문객을 받더라도 유족의 선택에 따라 장례식을 비공개로 진행할 수 있다. 화려한 서울특별시장과 가족장은 주목도 면에서 큰 차이가 있다.
‘어느 장례방법이 옳은 것이냐’는 논쟁은 사회에 큰 숙제를 담겼다. 차후 사회 유명인이 세상을 떠날 때도 이러한 논쟁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