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적인 장례방식에는 매장, 화장, 건조장 등이 있다.
매장은 2000년 이전까지 가장 광범위하게 쓰인 장법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망 후 매장됐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94년 화장률은 20.5%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후 정부와 장례 관련 단체에서 화장에 대한 적극적 홍보활동을 펼치자 화장률이 49.2%(2004)→61.9%(2008)→74.0%(2012)→82.7%(2016)로 급격히 상승했다.
복지부는 2022년에는 화장률이 90%에 접근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복지부는 자연장지 이용률 목표도 2022년까지 30.0%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화장률이 크게 높아졌지만 여전히 수도권 등 대도시 권역에서는 화장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사업자들이 민간 화장장을 설립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지만 주민 민원 등 강력한 반대여론에 부닥쳐 화장장 신설이 쉽지 않다.

일부 전문가들은 화장장에 대한 대안으로 ‘건조장’을 꼽고 있다.
시신을 염한 후 불태우는 화장과 달리 건조장은 시신의 수분을 우선적으로 제거한다. 이후 분해작업에 들어가기 때문에 다이옥신 등 중금속 검출이나 기타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실제로 건조장으로 반려동물 장례업체를 운영 중인 천안의 A업체는 “주민들에게 사전 설명한 후 사업을 시작했다”면서 “냄새나 오염물질 배출이 없기 때문에 주민들의 민원이 제기된 적이 없다”고 말했다.
화장장은 냄새나 오염물질 배출 등으로 환경오염을 걱정하는 주민들 민원에 부닥쳐 건립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렇다면 건조장이 정답일까. 건조장도 한계는 있다. 사람들이 보편화된 화장에 대한 거부감은 덜한 반면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건조장에는 거부감이 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도 건조장의 멸균 기능과 오염물질 배출이 없다는 점에 주목한만큼 성장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