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에서 무연고자의 존엄한 마무리를 위한 공영 장례식이 늘어나고 있다.
전남도와 부산 해운대구는 각각 무연고자와 저소득층 공영장례 지원을 강화한다.
16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 무연고 사망자가 2015년 30명, 2016년 41명, 2017년 52명, 2018년 53명, 2019년 74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남도는 무연고 사망자나 소외계층에 장례비를 지원함으로써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존엄한 마무리를 위한 ‘전라남도 공영장례 지원 조례’를 제정해 지난해부터 지원중이다.

지원대상은 사망 당시 전남에 주민등록을 둔 거주자 중 ▲연고자가 없거나 알 수 없는 경우 ▲연고자가 있지만 시신 인수를 거부하는 경우 ▲저소득층으로 장례를 치를 능력이 부족한 경우 ▲공영장례가 필요하다고 시장이나 군수가 인정한 경우 등이다.
공영장례가 치러지면 1인당 최대 150만원을 지원하고, 기초생활 수급자 등 타 법령에 따라 차액이 지급되며 매장에 따른 비용은 지원하지 않는다. 화장을 유도하는 것이다.
전남도는 지난해 무연고자와 저소득층 사망자 303명에게 공영장례를 지원한 바 있다.
부산 해운대구도 ‘무연고 사망자 장례지원사업 협약식’을 열고 공영장례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해운대구는 지난 11일 구청 2층 소회의실에서 동부산대 장례행정복지과, 반송동 소재 사찰인 원오사, 유품정리 업체 협동조합 리본과 협약을 맺고 공영장례 지원을 하기로 결의했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4개 기관은 무연고 사망자의 마지막 가는 길에 추도식과 장례의식을 함께 한다.
구는 1인 빈소도 마련하고, 동부산대 장례행정복지과는 추모의식을 진행한다. 정관 원오사 주지스님은 염불로 고인의 명복을 빌고 협동 조합 리본은 고인의 유품 정리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