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는 게 인생이라지만 인간들의 욕심은 끝이 없다. 세상을 떠나는 인간과의 작별이 아쉬워 인간의 장례법은 매장에서 화장으로 변화했다.
미국에서는 ‘시신 퇴비화’ 장법(葬法)이 조만간 현실화된다. 이 장법을 놓고 현지에서는 논란이 커지고 있다. 친환경 장법이라는 호평과 존엄성을 훼손한다는 반발이 엇갈리는 것이다.
미국에서도 매장과 화장이 주요 장례 문화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환경 보호’라는 대전제 아래 끊임없이 친환경 장례방법을 찾으려는 노력이 이어져왔다.
시신 퇴비화도 친환경 장례방법 중 하나다. 지난해 5월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시신을 ‘천연 유기 환원’과 ‘가수분해’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법안이 통과됐다.
시신 퇴비화는 시신을 나무조각으로 가득 찬 용기 안에 넣고 약 30일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재구성’ 과정을 거친 뒤 화단이나 텃밭에 거름으로 쓸 수 있게 만든다.

치아와 뼈 등 시신의 모든 부분이 퇴비화 되며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의 퇴비장 또한 가능하다. 다만 전염성이 강한 질병으로 사망한 사람은 퇴비장에서 제외된다.
퇴비장의 장점은 여러모로 친환경적이라는 점이다. 퇴비장을 제공하는 회사 ‘리컴포즈’ 관계자는 “관이나 묘지가 필요치 않고 화학물질이 생성되지 않는다”면서 퇴비장의 친환경성을 높이 평가했다.
퇴비장은 심지어 다른 장법에 비해 저렴하기도 하다. 수목장은 6000달러, 화장은 7000~1만달러, 매장은 8000달러에 달하지만 퇴비장은 5500달러(약 637만원)으로 가장 저렴하다.
친환경적이면서도 경제적이라 장례업계에서는 차세대 장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반발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종교계에서는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행동”이라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의 호응이 늘어나면 퇴비장이 장례방법 중 하나로 정착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