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반에 ‘일회용품 안 쓰기’ 기조가 확산되면서 장례업계도 영향을 받고 있다.
장례업계가 일회용품의 온상으로 지목되면서 장례식장 일회용품 제공금지법이 발의되는 등 전방위적 압박을 받고 있다.
환경부는 ‘1회용품 함께 줄이기 계획’을 발표하면서 세척시설을 갖춘 장례식장에서는 2021년부터 세척이 비교적 용이한 컵이나 수저 등 식기류부터 사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접시나 용기 등 단계적으로 금지 품목을 확대하고 2024년부터 장례식장에서 일회용품을 퇴출하겠다고 공언했다.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에 따르면 전국 장례식장에서 밥·국 그릇을 제외한 접시류 사용량은 연 2억1600만개에 달한다. 이를 무게로 환산하면 756톤에 달한다.

협회에 따르면 1회용 합성수지 접시의 20%가 장례식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때문에 지역사회에서도 ‘장례식장 일회용품 안 쓰기’를 주제로 토론회가 열리는 등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창원시와 전북 전주시는 ‘일회용품 안 쓰는 장례문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장례업계에서는 업계 자체의 자정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공감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다만 정부와 공공기관에서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박일도 한국장례협회장은 “일회용품 줄이기는 장례업계도 동의하며, 세계적인 추세”라면서 “협회도 사업자들에게 ‘일회용품 줄이기’를 대비해야 한다고 교육한다”고 말했다.
다만 박 회장은 “정부기관이나 대기업들도 소속 직원이 상(喪)을 당하면 장례용품을 지원하지 않느냐”면서 “정부와 대기업들이 먼저 ‘일회용품 줄이기’에 모범을 보여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