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품 사용을 자제하는 소비문화가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지고 있다.
전주시는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장례문화 확산을 위해 장례식장, 자활기업, 시민사회단체 등과 뜻을 모았다.
전주시는 지난 4일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를 확산시키고, 현재 일회용품 규제의 사각지대에 놓인 장례문화의 자발적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열었다.
장례업계에서도 ‘일회용품 줄이기’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세척시설을 설치하거나 세척 인력을 고용하는 등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시와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를 만들기 위한 자발적 협약을 맺은 전북대병원 장례식장·예수병원 장례식장·효자장례식장·현대장례식장, 전주지역자활센터,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전북지회, 전북도,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한국국토정보공사, 전북은행, 전주농협 등의 관계자가 참석해 일회용 상조물품 줄이기 및 다회용기 제공 등 방안을 의논했다.

▲장례문화의 자발적인 개선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 (사진=전주시)
시가 이처럼 일회용품 없는 장례문화 확산에 나선 것은 전주지역 17개 장례씩장에서 연간 4800여건의 장례식이 치러지는데, 장례식장이 일회용품 줄이기 규제의 사각지대에 있는터라 일회용품 사용이 빈번하기 때문이다.
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에 따르면 전국 장례식장에서 밥·국 그릇을 제외한 접시류 사용량은 연 2억1600만개로 756톤에 달한다. 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1회용 합성수지 접시의 20%가 장례식장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막대한 1회용품을 소비하고 있는 장례업계도 1회용품 사용금지 대상에 포함되는 사실에 동의하는 것이다. 문제는 ‘장례업계가 이러한 변화에 대비가 되어있느냐’이다.
민선식 전주시 복지환경국장은 “법령보다 중요한 것은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들의 마음”이라며 “‘고인께서 후손에게 남기고 싶은 것은 일회용품 쓰레기 강산이 아니라 금수강산’이라는 표어와 함께 전주지역 장례식장 및 시민단체와 함께 일회용품 줄이기에 솔선수범해 시민 인식을 개선하고 쾌적하고 살기 좋은 전주를 만들어 가겠다”고 다짐했다.
앞서 환경부는 오는 2021년까지 컵이나 수저 등 식기류를 금지하고, 2024년까지 접시나 용기 등 세척이 까다로운 품목을 제한해 장례식장에서 일회용품을 퇴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