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장례식장 일회용품 줄이기’ 바람이 불면서 장례업계에 일회용품 안 쓰기 바람이 불고 있다.
창원시와 전북 전주시는 최근 ‘일회용품 안 쓰는 장례문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실행방안을 논의했다.
일회용품을 아예 안 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됐다.
창원시는 지난 18일 시청 스마트회의실에서 환경단체, 장례식장 관계자들과 ‘장례식장 일회용품 사용자제 방안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 나선 장례식장 종사자들은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주 인건비 부담과 불편 등으로 인해 장례식장이 현저히 떨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세척시설이 없는 장례식장도 있기 때문에 권고사항 정도로는 일회용품 사용 자제가 어렵다는 것이다.
시민단체는 당장 모든 품목의 일회용품 사용 제한하는 건 어렵더라도 1개 품목부터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시는 창원 내 종합병원 장례식장 4곳에 수저만이라도 일회용품을 쓰지 않도록 권고할 예정이다.
전주는 장례식장 17곳에서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분리 배출하는 곳도 드물 정도로 상황이 심각하다.
전북도의회 국주영은 의원은 10월 중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례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문제는 조례안이 아니라 법으로 강제해야만 일회용품 사용이 비로소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법으로 세척시설 등 관련 시설을 갖출 것을 강제하되, 유예기간을 두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