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조합중앙회가 야심차게 출범시킨 산림조합상조가 수요 예측 실패로 어려운 나날을 보내고 있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김종회 의원(전북 김제·부안)에 따르면 산림조합 중앙회는 지난 2016년 전국 수목장림, 자연장지 알선, 장례용품의 개발유통 등 산림과 장례를 연계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는 목표 하에 상조서비스 사업을 시작했다.
산림조합중앙회는 사업 진출에 앞서 사업타당성 조사 끝에 상조사업 4년차부터 흑자 전환을 예측하고, 10년간 198억 5400만원의 흑자를 거두겠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현재 산림조합중앙회가 달성한 흑자달성은 실현 가능성이 낮아보인다.

산림조합상조는 사업타당성 보고서에서 매년 5만명의 가입자 유치를 장담했지만, 2017년부터 올해까지 유치 실적은 총 5만8105명에 그치고 있다.
가입자 수도 2017년 3만262명, 2018년 1만4492명, 2019년 1만3351명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다. 사업 초반 산림조합을 중심으로 가입자를 빠르게 늘려가다 포화 상태에 이른 시장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친 모습이다.
하지만 해약자 수는 2017년 494명, 2018년 1464명, 2019년 2146명으로 매년 늘어나고 있어 상황이 녹록지 않음을 보여준다.
신규가입자가 줄어드는 반면 해약자는 4배 이상 증가하는 상황이다.
시장점유율 또한 0.37%에 그쳐 산림조합상조를 어렵게 하고 있다.
산림조합상조는 사업을 시작하면서 부산상조 출신의 이영배 대표를 선임했지만 사업 부진으로 인해 이 대표가 자진사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종회 의원실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산림조합중앙회 측에서 이번 내용을 확인했기 때문에 대책을 저희 쪽에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주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 관계자는 “상조 가입자가 조합원 위주일 것으로 보이는데,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