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문재인 대통령은 7일 공관병 갑질 사건에 대해 "군 최고통수권자로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이번 기회에 군내 갑질 문화를 뿌리 뽑아야 할 것"이라고 규탄하며 모든 부처의 갑질 문화를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에서 "공관병에 대한 갑질 사건은 많은 국민들에게 충격과 실망을 드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나라를 지키러 간 우리 청년들이 농사병, 과외병, 테니스병, 골프병 등 이런 모욕적 명칭을 들으며 개인 사병 노릇을 한다는 자조가 더 이상 나오지 않도록 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국방부가 시행하는 전수조사는 문제해결을 위한 시작일 뿐"이라고 군 문화 개선을 거듭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검찰에 소환된 박찬주 대장 부부를 암시하듯 "일부 문제 인사를 징계하는 수준의 미봉에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정확한 실태 조사와 분명한 제도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주시기 바란다"며 "(갑질 문화는) 비단 군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또 "전 부처 차원에서 갑질 문화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우선 해외 공관을 포함해서 공관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부처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면서 "경찰 고위간부들이 의경을 운전기사로 부리는 등의 갑질 의혹에 대해서도 점검하고 개선해야 할 것이다. 차제에 군과 공직 사회의 갑질 문화를 근절하는 근본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공직 사회 전반에 걸쳐 갑질 적폐를 뿌리 뽑을 것을 지시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했다고 밝히며 "최근 한반도의 엄중한 안보 상황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고, 대응 방안에 대해 협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미국은 확장 억제를 포함한 확고한 대한(對韓) 방위 공약을 재확인하고 한·미 두 나라는 물샐틈없는 연합방위 태세에 기반해 긴밀한 공조를 유지해 나가기로 했다"며 "아울러 한반도 비핵화를 평화적인 방법으로 달성해야 한다는 원칙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어떠한 경우에도 군사적 대결이 아닌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방법으로 현재의 엄중한 안보 상황을 극복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만반의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우리를 위협하는 어떠한 도발도 물리칠 역량을 갖추고 있다. 우리 국민의 단합된 모습이야말로 위기를 극복하고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는 튼튼한 힘이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앞서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58분부터 8시54분까지 약 56분간 한반도 현안을 주제로 정상 통화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