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이호근 기자】=‘박은선 사태’의 발단이 된 여자프로축구 6개 구단 감독 모임의 간사인 이성균 수원시설관리공단(수원FMC) 감독이 자진 사퇴하며 거센 후폭풍의 시작을 알렸다.
지난 7일 이 감독은 박은선(27․서울시청) ‘성별논란’ 사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한다면서 구단에 사직서를 제출,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 감독을 포함한 여자축구 6개 구단 감독들은 지난달 비공식 모임을 갖고 논의한 한국여자축구연맹에 전달할 요구사항에는 박은선의 성별 확인 건이 포함됐다. 이날 모임에 박은선의 소속팀인 서울시청은 제외됐다.
이들이 협의 내용을 정리해 지난 1일 한국여자축구연맹에 팩스로 보낸 문서에는 ‘13년 12월 31일까지 출전 여부를 정확히 판정(성별 확인)하여 주지 않을 시 서울시청팀을 제외한 실업 6개 구단은 14년도 시즌 출전을 모두 거부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같은 6개 구단 감독들의 ‘보이콧’ 사실은 지난 5일 언론 보도를 통해 일반인들에게 전해졌다.
소속팀의 성적을 위해 WK리그 최고 스타를 퇴출시키려한 지도자들의 비열한 술수는 국민적 공분을 샀고, 사건을 일파만파로 번졌다.
뒤늦게 이 감독은 7일 방송 인터뷰를 통해 “우린 박은선의 국가대표 발탁 건을 논의했을 뿐 다음 시즌 보이콧을 주장한 적은 없다. 성별 문제는 사적인 자리에서 주고받은 농담이었다”고 발뺌하며 변명을 늘어놨지만, 수습은커녕 도리어 악수로 작용했다.
이 감독의 거짓말은 같은 날 오후 서울시청이 기자회견을 열고 6개 구단 감독이 연맹에 보낸 팩스를 공개하며 이내 들통 났다.
지도자들은 좋지 않은 의도를 가지고 힘을 모아 경쟁팀 선수의 퇴출을 도모했다. 퇴출 이유로 거론한 것은 ‘성 정체성’이라는 어이없는 이유였다. 여성으로 태어나 27년을 여성으로 살아온 여자축구 선수에게 여자로 살아온 성별을 부정하며 성별 확인을 요구한 것이다. 인권 침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가인권위원회까지 나서며 일이 커졌다.
이렇듯 국민적 공분을 사며, ‘인권침해’ 논란으로까지 사건이 확대되며 거센 후폭풍을 피해갈 수 없을 전망이다. 가장 먼저 해당 모임의 간사였던 이 감독이 자진 사퇴를 선택했고, 유동관 교양대교 감독도 구단에 사직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자축구연맹 고위 관계자는 “6개 구단 감독들이 보낸 팩스에 박은선 문제가 포함돼 있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리 역시 해당 요구사항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음을 느꼈다. 선수의 인권을 침해한 이번 사태에 책임을 통감한다”며 큰 상처를 입었을 선수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6일 단장회의를 열고 2014 신인 드래프트와 새 시즌 운영 방안 등을 논의하려 했지만, 박은선 사태가 터지며 모든 일정이 중단됐다. 일단 각 구단의 움직임을 먼저 지켜보겠다”면서 내부적인 징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후 늦어도 다음 주 중까지는 연맹에서도 6개 구단 감독들의 처벌 건을 포함해 단장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박은선은 180cm․74kg의 탁월한 신체조건을 지닌 ‘여자 박주영’․‘축구 천재’ 등으로 불리는 한국 여자축구의 대표 스타로 2004년 아테네올림픽과 2005년 동아시아대회 등에서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방황을 마치고 2011년 친정팀 서울시청으로 복귀한 그는 올 시즌 19골을 터뜨리며 리그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지난해까지만 해도 리그 중하위에 머물렀던 서울시청은 정규리그 2위․챔피언결정전 준우승을 차지했다.
root2-kr@hanmail.net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