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김충현 기자】전국 장사시설의 포화시점이 다가오면서 수급계획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지난 8일 시청 복지건강국 회의실에서 장사시설 지역수급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지역 장사시설 현황 및 실태, 시민의식 설문조사 결과, 장사시설 수급 전망과 중장기 광주시 장사 정책 방향 등을 논의했다.
해당 용역을 연구한 지식산업연구원은 광주지역 장사시설 수급분석 결과 화장시설은 2040년까지 공급이 충분하다. 하지만 봉안시설은 2030년 이후, 자연장 시설은 2028년 이후 확충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광주지역 화장률은 92.6%(2021년 기준)으로, 전국 화장률 90.8%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장사문화시민의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광주지역 주민들은 화장 후 유골처리 방법은 봉안시설(49.8%)이나 자연장(36.7%)을 선호한다.
지식연구원은 장례문화 변화와 자연장 위주 장사시설 정책 방향에 맞춰 기존에 조성된 광주지역 공설공동묘지를 재개발해 봉안·자연장 시설을 확충하고 망월묘원 내 개장용지를 활용하라고 제안했다.
광주에 위치한 79곳, 55만㎡ 면적에 달하는 공설공동묘지와 무연고 분묘 등은 혐오시설로 인식되고 있으며, 도시미관을 훼손하는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지식연구원은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광주시 공설 장사시설인 망월묘원, 영락공원의 과밀해소 측면에서 권역별로 조성된 공설공동묘지를 친자연적인 도심형 추모공원으로 재정비해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공간이자 추모공간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시 관계자는 영락공원 3단계 확충사업과 관련해 4만5000기 수준의 제3봉안당과 화장시설 6기를 갖춘 제2화장장을 건립하고 2만5000기 규모의 자연장지 신설 등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정영화 광주시 복지건강국장은 “화장 중심의 장사문화 변화에 맞춰 공급부족이 예상되는 장사시설 확충계획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장사시설이 포화상태에 이른 것은 광주만의 일이 아니다. 앞서 울산에서는 울산지역 봉안당 수요가 2024년에 공급을 넘어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경기 남부에 위치한 화성 함백산추모공원도 제2봉안당 증설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