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국회의원 체포동의안 표결 방식을 현행 무기명에서 기명 방식으로 바꾸자고 제안하자 비명(이재명)계는 강하게 반발했다.
김은경 혁신위원장은 지난 21일 “책임정치라는 측면에서 투표결과에 책임지는 것이 필요하다”면서 기명투표제를 제안했다.
이재명 대표도 지난 24일 “빠른 시일내 기명투표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김 위원장의 제안에 힘을 실었다.
비명계는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27일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쓸데없는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조 의원은 “이 대표가 ‘기명투표가 책임 정치에 부합한다’고 말했지만 그렇게 하려면 강성 지지층, 정치훌리건들을 철저히 배격하고 강제 당론부터 없애야 된다”라고 강조했다.
혁신위가 미국 등 선진국 대부분이 기명투표제를 택했다고 지적하자 “미국은 양심에 따라 크로스보팅(상대당 제안에 찬성)이 상례화 돼 있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적대적 양당제에다가 정치훌리건들이 뭉친 상태에서 당론으로 옥죄는데 '기명을 해라'? 이건 인민재판”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어 “기명투제하면 여당은 입법부 역할은 등한히 하고 대통령 사수대만 하고 야당은 대안세력으로 민심을 얻을 것인가라기보다는 상대방 끌어내기, 흠집내기 이것만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원욱 의원도 CBS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 스스로 '불체포 특권 포기'를 선언해 놓고 이제 와서 기명 투표를 하자? 이는 누가 수박인지(판명하겠다는 말)”이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체포동의안에 찬성표를 던지는 사람들은 (이 대표의 강성 지지자들로부터) 다 수박으로 낙인찍을 것”이라고 우려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