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차용환 기자】미국 국무부가 북한과 외교의 문이 열려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외교정책 중심에 인권이 있다고 강조했다.
국무부는 북한에 대한 인권문제 제기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일각에서 북한에 인권 문제를 제기하면 대화 분위기가 어그러질 수 있다는 우려를 일축하고 나선 것이다.
북핵 해결을 위해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양보가 없을 것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17일(현지시간) “미국은 인권을 외교정책 중심에 두는 데 전념하고 있다”면서 “인권 유린에 목소리를 높이는 파트너들과 함께 힘을 합치고 있다”고 말했다.
VOA(미국의소리)는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를 지낸 문정인 세종연구소 이사장이 전날 한 심포지엄에서 북미관계를 전망하며 “지금 제일 걱정되는 부분은 미국이 북한 인권문제를 들고 나올 경우 비핵화 진전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한 데 대한 국무부에 논평을 요청했고, 국무부가 이에 대한 답변으로 내놓은 것이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핵과 인권문제를 동시에 다룰 예정이며 양자 간 절충은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문 이사장이 미국 내 북한문제에 있어 가치를 강조하는 강경파가 많이 포진돼 있다고 언급한 데 대해 미국의 목표는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점을 재확인하기도 했다.
다만 국무부는 “일반적으로 우리의 제재는 인도주의 관련 지원이나 원조 활동 등은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인권을 대외정책의 기본 전제로 다루고 있는 바이든 미 대통령이 북한 인권을 이번 정상회담에서 모두 발언 또는 기자회견 등에서 언급할 경우 북측의 반발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