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적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평가 바람이 불면서 한국에도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조·장례분야에서는 환경보호의 대안으로 자연장이 각광을 받는다. 자연장 중에서도 대표적인 수목장에 관심이 집중되는 모양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자연장 이용률은 2016년 16.7%에 그쳤지만, 2027년에는 5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2014년 고려대 산학연구원 장사 방법 선호도 조사에서도 자연장의 일종인 수목장(44.2%) 선호도가 봉안당(37.0%)를 뛰어넘기도 했다.
이처럼 수목장으로 대표되는 자연장의 인기가 날로 치솟고 있지만 여전히 수목장 공급은 태부족인 상태다.
일단 일반인이 수목장을 이용하려고 해도 국·공립 수목장이 3곳에 불과하다.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서 국·공립 수목장을 이용하기는 접근성이 떨어진다.
이런 빈틈을 사설 수목장이 파고 들었다. 수목장을 하고 싶어도 사설에서 부르는 게 값이라 천정부지로 가격이 뛰어오르기 마련이다.
사설 수목장을 이용하려면 추모목과 토지를 분양 받아야 하는데, 추모목의 가격은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달한다.
위치나 나무 종류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더 큰 문제는 사설 수목장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경영난으로 돌연 폐쇄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는 사실이다.
사설 수목장이 문을 닫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유족이 떠안게 된다. 이에 업계에서는 사설 수목장 기준을 강화하고 국·공립 수목장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장례업계 관계자는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국·공립 자연장지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