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신위철 기자】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9일 대선 출마 선언을 하며 한일 관계에 대해 “이념편향적인 죽창가를 부르다가 여기까지 왔다”고 비판했다.
이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일본 정부와 유사한 역사 의식에 경악한다”고 받아쳤다.
조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씨가 윤봉길 기념관에서 대선 출마 선언을 하면서 '문재인 정부가 이념편향적 죽창가를 부르는 바람에 한일관계가 망가졌다'고 발언했다”면서 “지난 2019년 7월 13일 죽창가를 올린 사람으로 윤 씨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반발했다.
이어 “귀하는 2012년 및 2018년 대법원의 강제징용 노동자 판결에 동의하는가”, “귀하는 일본 정부가 일으킨 경제전쟁을 문재인 정부 또는 한국 대법원 탓이라고 생각하고 있는가”, “귀하는 2년간의 한일 무역전쟁 이후 한국 기업의 기술자립화 수준이 높아졌고, 전체적으로 보아 한국이 이겼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데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윤 전 총장은 기자회견에서 한일관계 개선 방안에 대해 묻는 일본 NHK 기자의 질문에 “외교는 실용주의, 실사구시, 현실주의에 입각해야 하는데 이념 편향적 죽창가를 부르다가 여기까지 왔다”면서 “지금 한일관계가 수교 이후 가장 열악해졌으며 회복이 불가능해질 정도까지 망가졌다”고 답했다.
조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의 코멘트에 반발해 30일 새벽에 페이스북에 ‘죽창가’를 다시 올리기도 했다.
윤 전 총장은 대선 출마 선언을 통해 “국제사회는 인권과 법치,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 사이에서만 핵심 첨단기술과 산업시설을 공유하는 체제로 급변하고 있다”고 단언한 뒤 “외교 안보와 경제, 국내 문제와 국제관계가 분리될 수 없는 하나가 되었다. 이제는 전쟁도 총으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칩으로 싸운다”고 역설했다.
이어 윤 전 총장은 “국제 사회에서도 대한민국이 문명국가의 보편적 가치에 기반하고 있다는 분명한 입장을 보여야 한다. 대한민국이 어떤 나라인지 확고한 정체성을 보여주어 적과 친구, 경쟁자와 협력자 모두에게 예측가능성을 주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발언은 ‘친중’이라는 비판을 받는 문재인 정부와 반대되는 입장이라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