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박상용 기자】 2017년 1월 24일 새누리당에서 탈당한 의원들이 중심이 되어 ‘바른정당’을 탄생시켰다. 새누리당은 바른정당의 탄생을 막으려 했으나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안이 가결된 상황에서 비박(근혜)계 의원들의 탈당을 막기 어려웠다.
바른정당은 당시 유승민 의원을 대선후보로 내세우며 대통령선거까지 완주했다. 대선 결과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승리였다.
당시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의 득표율은 탄핵 사태에도 불구하고 24.03%였고, 유승민 후보는 6.76%를 기록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21.41%였으니 산술적으로 세 후보가 단일화를 했다면 과반수 득표를 넘겨 당선이 될 수 있었다.
바른정당의 선두에 섰던 유승민 전 의원의 친구의 자녀가 바로 현재 국민의힘 당권 경쟁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이준석 전 새누리당 최고위원이다.
이 전 최고위원은 딱히 경력이 없지만 유 전 의원의 지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보수정당의 핵심으로 즉각 진입했다.
그리고 9년 가까이 원외에서 머물면서 인지도를 높여왔고, 이제 당권도전을 선언한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 중량감이나 능력은 아직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전 최고위원과 당권 경쟁을 하고 있는 주호영 의원은 이 전 최고위원에 직격탄을 날렸다.
주 의원은 27일 유승민계를 거론하며 “계파정치의 피해자였던 유승민계가 전면에 나서 계파정치의 주역으로 복귀하고 있다”며“'유승민 대통령 만들기'가 꿈인 사람(이준석)이 대표가 되면 공정한 경선 관리가 가능하겠나. 유 전 의원 말대로 찌질한 구태정치”라고 맹비난했다.
그런데 주 의원은 바른정당에서 유 전 의원과 동고동락을 했던 사이다. 한솥밥을 먹으며 바른정당 앞에 놓였던 파고를 같이 헤쳐나간 사이다.
하지만 어제의 동지가 오늘의 적이 되는 비정한 정치현실 앞에 주 의원은 이 전 최고위원을 비난하고 유 전 의원도 비난했다. 정치적 의리는 오간 데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