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이지사는 ‘경기도 독자 백신 도입’ 발언이 더불어민주당 안팎에서 논란이 되자 “당이 한 사람의 생각대로 움직여서는 안 된다”고 되받아쳤다.
이 지사는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누가 뭐래도 민주당의 저의 요람이며 뿌리”라면서 “정치 입문 아래 한 번도 당을 떠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촛불 항쟁의 정신 위에 3기 민주 정부를 이끌고 계신 문재인 대통령님께서 앞장서 끌어오신 수레를 민주당원들과 함께 저 역시 힘껏 밀어갈 것”이라며 잔류 의지를 강조했다.
또 이 지사는 “일각에서 최근 제 발언을 두고 정부와 차별화에 나서는 것 아니냐고 갈라치기를 시도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지사는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수급 부족 논란에 휩싸이자 지난 15일 경기도가 독자적으로 백신을 도입해 접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 논란이 커졌다.
그러면서 전날 러시아산 스푸트니크V를 포함한 다양한 백신의 공개 검증을 청와대에 요청한 사실을 밝히며 경기도의 독자 백신 도입 계획을 구체화했다.
이 지사의 행보는 당내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반문(재인)으로 분류되는 이 지사가 민주당의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레임덕(임기말 권력누수현상)이 가시화되자 중앙정부의 백신 수급 통제에 놓고 반기를 든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지사는 “민주주의에서 가장 위험한 신호는 의견이 갈리는 것이 아니라, 아무도 이견을 말하지 않는 상태”라며 “그간의 성과 위에 부족한 것은 채우고 필요한 것은 더해 일부 다름은 있겠지만 의도에 의한 차별화는 있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