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7 재·보궐선거 참패로 도종환 비상대책위원장이 “내로남불의 수렁에서 하루 속히 빠져나오겠다”고 다짐했음에도 조국 사태에 대해서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어서다.
민주당 현 지도부와 다수 의원들이 조국 사태를 반성한 2030 초선 의원들을 향해 ‘배은망덕’ ‘초선 5적’ 등의 비난을 가한 강성 친문(재인) 지지층의 눈치를 보고 있다.
원내대표 선거에 출사표를 올린 친문 핵심 윤호중 의원은 “지난해 총선을 통해 평가를 받았다”면서 오히려 조 전 장관을 두둔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총선에서 180석 압승을 거뒀으니 ‘문제가 없다’는 민심의 평가를 이미 받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조 전 장관은 서울대 학생운동권 출신으로 당 주류와 운동권 동지 의식으로 똘똘 뭉쳐있다.
또한 조 전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영입한 핵심 인사이기 때문에 당에서 건드릴 수 없는 사람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조 전 장관 사태에 대한 사과는 야당의 공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도 있다. 괜히 긁어부스럼 만들 필요가 없다는 문제의식이다.
심지어 조 전 장관에게 ‘마음의 빚’이 있다고 표현한 문 대통령의 의중을 파악하느라 바쁜 민주당이 조 전 장관 사태에 대해 사과하기는 정치적 부담이 따른다.
하지만 사법부가 조 전 장관의 부인인 동양대 정경심 교수를 구속 수감하면서 여론이 급속히 악화됐다.
민주당 지도부로서는 문 대통령 복심을 살핌과 동시에 강성 지지자들의 여론, 사법부 및 중도 유권자의 눈치까지 살펴야할 것이 많다. 하지만 일단은 강성 지지자들과 코드를 맞히는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