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흐림동두천 26.8℃
  • 흐림강릉 27.8℃
  • 구름많음서울 27.6℃
  • 구름많음대전 26.7℃
  • 구름많음대구 27.6℃
  • 구름조금울산 28.2℃
  • 구름많음광주 26.2℃
  • 흐림부산 27.8℃
  • 구름많음고창 27.4℃
  • 제주 27.9℃
  • 흐림강화 27.4℃
  • 흐림보은 24.9℃
  • 흐림금산 25.3℃
  • 구름많음강진군 27.6℃
  • 구름많음경주시 28.0℃
  • 구름많음거제 28.0℃
기상청 제공

문화

[STV]문화재청,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보물 지정

  • STV
  • 등록 2012.08.24 07:06:28

문화재청(청장 김 찬)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8건의 유물을 보물로 지정했다.(24일 자 관보고시 예정)

 

 

보물 제1772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大邱 桐華寺 三藏菩薩圖)’는 가로로 긴 한 화면에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의 세 보살과 그 권속들을 표현한 의식용 불화이다.

 

화기(畵記)를 통해 화주(化主·불사를 주관한 승려) 18세기 초 대표적인 화승(畵僧) 중에 하나인 의균(義均·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이며, 당시 동화사 불화 외에 경주나 창녕 등 타 지역의 불화가 함께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동화사가 팔공산 인근에서 활동하던 화사(畵師)들의 주 근거지, 혹은 작업 공간으로 활용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더불어, 팔공산을 중심으로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까지 크게 활약한 화승 의균의 화풍이 뚜렷하여 화파(畵派) 연구에도 중요한 작품이다.

 

16세기 이전으로 올라가는 삼장보살도들이 국내에 거의 전하지 않고, 그나마 17·18세기 초에 제작된 석탑사 삼장보살도(1699)나 대구 파계사 삼장보살도(1707) 조차 그 소재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이 삼장보살도가 갖는 불교회화사적 의의는 크다.

 

보물 제1773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大邱 桐華寺 地藏十王圖)’ 1728(영조 4) 동화사 대웅전에 모실 삼단불화를 조성할 때, 삼장보살도와 함께 중단불화로 조성되었다.

 

이 불화는 한 화면에 본존인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무독귀왕, 그리고 십대왕, 판관, 사자, 동자, 앙발옥졸(仰髮獄卒), 장군, 여섯 보살 등을 엄격한 좌우대칭에 입각하여 그린 군도(群徒) 형식의 지장시왕도이다.

 

화기를 통해 1728(영조 4)에 의균(義均), 명찰(明察) 등이 불화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 수화승 쾌민(快旻)을 비롯하여 체환(體還) 등 모두 7명의 승려 화원들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당시 지장시왕도의 양상 및 경북 내륙 화사들의 화풍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보물 제1774자치통감강목 권12, 27, 37, 42(資治通鑑綱目 卷12, 27, 37, 42)’ 1493(성종 24)에 명판본자치통감강목을 자본으로 주조된 계축자(癸丑字)를 사용하여 간행된 책으로 국내에 드문 귀중본이다.

 

이번에 지정한자치통감강목의 본문과 주석에는 끊어 읽을 수 있도록 표시(백권·白圈)가 되어 있어 독해가 편리하다. 또 책의 군데군데에 의정부 산하의사인사(舍人司)’라는 인문(印文)이 날인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다. 42의 본문의 중간 중간에는 교정지시(校正指示)가 필서(筆書)되어 있어 교정본임을 알 수 있다. 표지는 제책 당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더욱 가치가 있다.

 

보물 제1775진실주집(眞實珠集)’ 1462(세조 8)에 목판으로 새긴 간경도감판(刊經都監版) 10년 뒤인 1472(성종 3) 6월에 후쇄(後刷)한 것이다. 간경도감판 원문(刊經都監版 原文)에 김수온(金守溫)의 발문(跋文)을 덧붙인 것으로, 발문은 갑인자소자(甲寅字小字)로 인출(印出)하였다.

 

발문에는 승하한 세조·예종의 명복과 정희대왕대비·성종·공혜왕후의 장수를 빌기 위해 인수대비(仁粹大妃, 1437~1504)의 주도로 인출된 불경(佛經)의 종류와 인출건수(印出件數) 등이 수록되어 있다. 당시에진실주집 200건을 인쇄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이번에 지정된진실주집은 그 때 인출된 200건 중의 하나로, 조선 초기 목판인쇄기술과 발문 등을 통해 왕실의 불교신앙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1776영가진각대사증도가(永嘉眞覺大師證道歌)’는 세조~성종 연간(1455~1494)에 을해자(乙亥字) 중자(中字)와 소자(小字)를 사용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정되는 판본(版本)이다. 을해자로 간행된 불서 중에서영가진각대사증도가의 간인사실(刊印事實)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판본(版本)은 고려조(高麗朝)와는 달리 언기(彦琪) 등의 여러 주석이 수록(註釋)된 점으로 보아증도가(證道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던 것으로 짐작된다.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처음 간행 당시의 표지 장황, 제첨 등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15세기 왕실을 중심으로 간행된 불경 표지 장황의 전형을 볼 수 있다. 이는 당시 왕실에서 이루어진 불서의 품질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그 가치가 높다.

 

보물 제703-(2)장승법수(藏乘法數)’는 대장경(大藏經)에 수록된 명수(名數, 3·3신 등과 같이 수를 가진 법문의 수량)를 차례로 배열하여 찾기 편하고 이해가 쉽도록 편찬한 일종의 불교학사전(佛敎學事典)이다. 인쇄된 글자에 마멸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에 인출한 책으로 보인다. 표지는 개장(改裝)되었고 표제는현수법수(賢首法數)’, 판심제는법수(法數)’이다.

 

“무학대사중간 공필구여발(無學大師重刊功畢求余跋)”이라고 기록된 이색의 발문을 통해서, 원조(元朝)의 서암 가수(西菴可遂) 1365(지정 15) 경에 편집을 완료하여 간행한 판본을 저본(底本)으로 하여 여말선초의 고승인 무학대사(無學大師) 1389(공양왕 1)에 판각한 중간본(重刊本)임을 알 수 있다.

 

발문에 간행 경위가 수록되어 있으며 원나라 간본을 바탕으로 고려시대에 번각(飜刻)한 것으로 불교사와 서적 교류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이다.

 

보물 제861-(2)불랑기자포(佛狼機子砲)’는 후장식 화포인 불랑기에 부속되어 포탄과 화약을 장전하는 자포(子砲), 손잡이가 달린 둥근 형태의 통 형식을 갖추고 있다.

 

자포 포신 표면 우측에가정계해 지통중칠십오근팔냥 장김석년(嘉靖癸亥 地筒重七十五斤八兩 匠金石年)”이라는 명문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어 자포가 1563년에 제작되었으며, 중량이 75 8냥이고 장인 김석년에 의해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불랑기자포가 출토된 지역은 서울시 신청사 부지로, 조선시대 무기를 관장하던 군기시(軍器寺) 터이다. 이 곳에서 조선 중기의 대표적 화기인 승자총통을 비롯한 대형 화포의 발사체, 철환, 철촉 등 다양한 무기류와 함께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불랑기자포가 1563년 조선에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가치를 더하며, 이미 지정된불랑기자포와 더불어 조선시대 화기 발달사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보물 제1281-(2)자치통감 권131~135, 246~250(資治通鑑 卷131~135, 246~250)’은 세종이 경복궁(景福宮)의 사정전(思政殿)에서 명신·학자(名臣·學者)들의 훈의(訓義)와 교감(校勘)을 거쳐자치통감의 편찬을 완료하고, 유의손(柳義孫윤회(尹淮권도(權蹈설순(偰循김말(金末) 등의 서문을 붙여 1436(세종 18)에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간행하여 배포했던 판본이다.

 

잔본이기는 하지만 전하는 예가 매우 드물며, 보존상태도 양호하고 표지는 제작될 당시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임창용 기자 news@stv.or.kr

 www.stv.or.kr


문화

더보기
황석영 부커상 불발…수상은 독일 작품 ‘카이로스’ 【STV 박란희 기자】올해 영국 부커상 인터내셔널 부문은 예니 에르펜벡의 장편소설 ‘카이로스’(Kairos)가 수상했다. 황석영 작가는 ‘철도원 삼대’로 최종 후보에 오르며 기대를 모았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영국 부커상 심사위원회는 21일(현지시간)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시상식을 열고 올해 인터내셔널 부커상 수상작으로 독일 작가 예니 에르펜벡의 ‘카이로스’를 수상자로 선정했다. ‘카이로스’는 1980년대 말 베를린 장벽 붕괴를 놓고 유럽 현대사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진행되는 두 남녀의 이야기이다. 작가 에르펜벡은 1967년 동독의 동베를린 태생이며, 오페라 감독과 극작가, 소설가를 넘나들면서 전방위적으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인터내셔널 부커상은 작가 본인 외에도 영어로 작품을 번역한 번역가에게도 시상한다. ‘카이로스’ 영역자인 마이클 호프만 번역가도 상을 받았다. 황석영의 장편소설 ‘철도원 삼대’(영어판 ‘Mater 2-10’)는 최종후보 6편에 포함됐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한국 문학은 최근 3년 연속으로 후보에 올랐으나 모두 불발됐다. 2016년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가 ‘맨부커 인터내셔널’ 부문을 수상한 후 2018년 한강의 다른 소설 ‘흰’과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
텅텅 빈 올림픽 좌석…정치 불안에 올림픽 흥행 ‘빨간불’ 【STV 박란희 기자】2024 파리올림픽 개막이 코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치 불안으로 인해 흥행에 빨간 불이 켜졌다. 조기총선에서 1위를 차지한 좌파 진영이 총리 후보자를 제안했지만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올림픽이 끝나기 전에는 새 총리를 임명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올림픽 티켓이 60만장 이상 남아도는 상황이라 흥행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프랑스 좌파 연합 신민중전선(NFP)은 23일(현지시간) 오후 성명을 통해 “각 정당 지도자가 모여 논의한 끝에 루시 카스테트 파리시 재무국장을 총리 후보로 선택했다”라고 했다. NFP는 37세 카스테트에 대해 “정년 연장에 반대하는 투쟁에 적극 참여했고 세금 사기와 금융 범죄를 단속하고자 노력하는 공무원”이라고 했다. 하지만 NFP의 총리 임명 압박에도 불구하고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저녁 프랑스2 방송과 인터뷰에서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현 정부가 국정을 이끌겠다”라고 거부의 뜻을 밝혔다. 마크롱 대통령은 “중요한 건 누가 총리가 되느냐가 아니다”라면서 “정부가 안정적 운영을 위해 의회 내 과반수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프랑스는 지난 7일 총선 투표결과 NFP가 전체 577석 중 182석을 얻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