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동북아시대 해양수도의 공동비전 달성을 위해 가장 기본이 되는 해양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함을 인식하고, 올해를 ‘해양수도 부산의 원년’으로 선포, 각종 현안사업들을 차근차근 진행해 오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2년간 국토해양부와 공동으로 과학적인 해양수질 관리를 위해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도입을 위한 타당성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육역 하천과 해수의 유동성 등 연안별 특성을 고려하여 기장 연안, 수영만 연안, 부산항 연안, 낙동강 연안 등 네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고, 네 개의 권역 중 오염 현황 및 제도 시행 목적 등을 고려할 때 수영만 연안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와 국토해양부는 이 제도의 도입에 앞서 지난해 4월부터 수차례의 전문가 자문회의와 공청회를 실시하여 지역주민과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도입 타당성에 대한 필요성과 각종 쟁점사항에 대한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내년에는 본격적인 제도 도입을 위해 수영만 연안을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2014년까지 ‘부산연안 특별관리해역 연안오염총량관리제 기본 및 실시계획’을 수립하여 2015년부터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러한 계획들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제도가 안정기에 들어가면 전국 최대의 피서지인 해운대 및 광안리 해수욕장 수질 향상과 더불어 해양레저·관광 도시로서의 이미지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전하고, “특히 이 제도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장기적인 안목과 전략적 추진으로 해양수도 부산의 역량을 축적하는 좋은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밝혔다.
【장승영 기자 news7@stv.or.kr】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