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상용 기자】=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측근 처형과 관련해 5일 김관진 국방부장관은 이번 사태가 북한당국 기관 간 갈등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날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외의에 참석한 김 장관은 “장성택 측근이 처형된 것은 사실이지만 장성택 실각 여부는 사실 확인을 위해 보다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한다. 북한에 대한 여러 정보분석을 하고 있는데 기관간 갈등이 있기 않았겠느냐고 보고 있다”면서 “측근의 월권행위워 부정부패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장성택 측근의 처형시점에 관해서는 “9월 중하순이 맞지만 구체적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은 정보출처 노출 가능성 때문”이라고 알렸다.
북한의 향후 행보에 대해 그는 “북한은 김정은 체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2년여간 움직여왔고 앞으로도 그렇게 갈 것”으로 예측했다.
‘장성택 실각이 곧 김정은 체제의 공고화를 의미하느냐’는 새누리당 정희수 의원의 질문에 김 장관은 “반대 상황이 있을 수도 있다. 가정을 전제로 예측하기 어렵지만 여러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답했고, ‘북한당국이 중국에 사전보고 후 처형했다’는 설에는 “사실이 아니다”고 분명히 했다.
군의 대비상황과 관련해서 김 장관은 “현재 경계태세만 갖추고 있을 뿐 군사적 등급 상향을 하지 않았다. 권력구도 재조정 작업이 이뤄지고 있으므로 내부 불안정이 대남도발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북한이 곧바로 군사적 행동으로 갈지는 단언하지 못하지만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07@paran.com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