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STV】박상용 기자 = 우리나라가 15일 북극이사회 옵서버 자격 획득에 성공하며 북극권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2002년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 다산과학기지를 세우며 북극 연구의 첫발을 내디딘 지 12년 만이다.
북극이사회는 이날 스웨덴 키루나에서 각료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한국을 포함해 중국, 일본, 인도 등 6개 나라의 ‘정식 옵서버(Permanent Observer Member)’ 자격 신청에 승인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8년 11월부터 임시 옵서버로 활동한 지 5년 만에 정식 옵서버 지위를 얻게 된 것이다.
북극이사회는 기후 변화 문제, 석유·가스 등의 자원 개발, 북극 항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북극 관련 정책 수립을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회의체이다.
정식 옵서버 자격을 획득함으로 북극 개발과 관련하여 북극이사회의 정책결정에 의견개진을 하는 등 보다 적극적 활동이 가능해진다.
천연자원의 보고이자 항공/해상 교통 및 기타전략상의 요충인 북극권을 둘러싼 이사회 회원국들의 치열한 경쟁을 좀 더 적극적으로 지켜보면서 어쩌면 핵심적 관여를 할 수 있는 자리를 얻은 것으로 평가된다.
북극 항로와 북극해 개발 참여는 사실 박근혜 정부의 140대 국정과제 가운데 13번째로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은 것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환경오염 문제로 북극에서 석유를 가져오는 것은 어렵지만, 지속가능한 개발의 측면에서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실 현재로서는 자원개발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연안 항로(항공로/해상로) 이용의 측면이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빙하가 빠른 속도로 녹으면서 수에즈 운하 대신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북극해 항로가 경제적 국제물류 루트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2025년쯤 되어야 쇄빙선 없이 북극항로의 ‘해상’ 루트 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007@paran.com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