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31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크루즈뉴스

[STV]서울시, 주차 기능 못하는 부설주차장 2만8천건 적발

  • STV
  • 등록 2012.10.30 07:07:53

서울시가 주택가 주차난을 가중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로 손꼽히는건축물 부설주차장 기능 미유지 및 용도변경단속을 나선 결과, 지난 7~9월까지 3개월 간 총 28천건을 적발했다.

 

2011년 말 현재, 서울 시내 주차장 전체 359만 면 중에 노상 주차장 15만면(4.2%), 노외주차장 11만면(3.3%)인데 반해 건축물 부설주차장이 333만면(92.5%)으로, 시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서는 절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부설주차장이 제 기능을 해야 한다고 판단해 이번에 대대적인 점검을 실시했다.

 

<적발된 28천건 중 기능미유지 63%, 용도변경 37%… 19천건 시정명령>

 

이번 점검은 2012 7월 현재, 서울 시내 건축물 부설주차장 총 25만개소(298만면) 67.8% 17만개소(184만면)를 점검 완료하였으며, 나머지 8만건은 연말까지 계속해서 점검할 예정이다.

 

이번 단속에서는 총 10,208개소 28,228건이 적발됐으며, 이 중 주차장 형태는 유지하고 있으나 물건 등을 쌓아 두어 주차장 본래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어 있는 경우가 18,071(63%), 사무실··점포 등으로 불법 개조해 사용 중인 경우가 10,157(37%)이었다.

 

적발된 유형으로는 점포 앞에 상품 적치 나무·화강암 데크 설치 주차장 입구에 출입문·외벽 설치 빨랫줄을 만들어 세탁실로 사용 화단 조성 가건물 설치해 사무실로 사용 방을 만들어 주거용으로 사용 통유리 설치해 카페 영업 개집 등을 놓고 동물사육 등의 사례가 있었다.

 

서울시는 현재 19,762건에 대해 원상 복구하도록 1차 시정명령을 한 상태며, 2차 시정명령 후에도 원상태로 복구하지 않은 300건에 대해서는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고 95건은 고발 조치했다.

 

적발된 28천건 중에 3,369건은 현장에서 즉시 시정했으며, 4,702건은 시정명령을 내리기 전에 원상 복구한 사실을 확인했다.

 

서울시는 현재 시정명령이 내려진 19천건에 대해서도 기간 내 주차장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복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예외 없이 이행강제금 부과 또는 고발조치 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울시는 이번 점검에서 적발돼 1차 시정명령을 받았으나 원상 복구하지 않은 건축물 1,934건에 대해서는 건축물 관리 대장에 위반건축물 표기를 하여 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건축물 관련 인·허가를 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지하·건물식 주차장 CCTV 점검도 병행한 결과, 주차장법 위반한 37개소 적발>

 

한편 서울시는 주차장법 시행규칙에 따라 30면 이상 지하식 및 건물식 주차장에 설치된 CCTV와 녹화장치 점검도 병행한 결과, 전체 2,048개소 중 37건을 적발해 18건은 시정완료하고 나머지 19건은 시정조치 중이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11에는 30면 이상 지하식 및 건물식 주차장을 이용하는 시민의 안전을 위해 70럭스 이상 조도 미유지 경보·방범설비 미설치 CCTV 촬영자료 1개월 이상 미보관 등 8개 항목을 점검·관리하게 되어 있다.

 

서울시는 이번 점검에서 적발된 모든 건축물 부설주차장을 특별 관리대상으로 지정하고 앞으로 수시로 점검에 나설 계획이며, 특히 과거에 관련 법 위반으로 적발된 이력이 있는 부설주차장이 본래 기능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철저히 점검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앞으로 용도를 변경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주차장이 없어질 때까지 매년 건축물 부설주차장 점검에 나설 계획이며, 부설주차장 기능을 유지하지 않는 행위가 관련 법 위반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불이익을 받는 시민이 없도록 점검 시 홍보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서울시 윤준병 도시교통본부장은앞으로 주차장 신규 조성뿐만 아니라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주차장 관리 또한 철저히 해 나갈 것이라며부설주차장 기능 유지는 무엇보다 주민들의 협조가 필수적이므로 주차난 없는 서울만들기에 적극 협조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장승영 기자 news7@stv.or.kr

 www.stv.or.kr


문화

더보기
새 교황에 레오 14세…美 출생, 페루 빈민가 20년 헌신 【STV 박란희 기자】제267대 교황으로 선출된 레오 14세(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 추기경·69)는 미국에서 태어나 페루 빈민가에서 20년간 사목활동을 헌신했다. 오랜 페루 생활로 시민권까지 얻는 그는 전임자인 프란치스코 교황의 측근으로 맹활약했다. 신학적으로 중도 성향이라 성당 내 대립 중인 개혁파와 보수파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뉴욕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레오 14세는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났다. 교리교사로 일한 프랑스·이탈리아 혈통 아버지를 따라 성당을 다니며 복사로 활동했다. 어머니는 스페인계 도서관 직원으로 일리노이주 성직자들이 그의 집을 출입하며 공동체 생활을 하기도 했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신학교에 입학해 교황청립 안젤리쿰 대학에서 교회법 박사 학위를 획득했으며, 1982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와 가까운 페루 북서부 추루카나스 교구에서 10년간 사목했다. 2001년부터 12년동안 공동체 생활을 강조하는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장으로 활동한 후 프란치스코 교황의 지시로 2014년 페루 북서부 치클라요 교구로 파견됐다. 이 교구는 빈민가와 농촌 지역을 담당했다. 2023년 프란치스코 교황이 그를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