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5월 23일부터 6월 15일까지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보호를 위한 일제조사’를 실시하고 어려운 이웃 976명을 발굴하였다.
대구시는 이번 일제조사에서 그간 복지대상자 발굴과는 달리 공원, 창고 등 주거취약지역 조사와 노숙인, 주민등록말소자 등 비정형 대상자 발굴에 집중하였다.
발굴된 대상자는 총 530건(976명)으로 60세 이상의 노인가구가 221건이었으며, 장애인가구 67건, 정신질환 의심가구 27건, 아동·청소년 16건 등 노약자가 주를 이루었다.
주요 발굴 경로로는 시민들의 신고에 의한 경우가 191건(332명)이며, 행정기관의 직권조사에 발견된 경우는 72건(123명), 본인신고는 267건(521명)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공원, 철도 및 지하철역, 창고, 폐가, 여관, 쪽방 등 비정형적 장소가 86건으로 전체 발굴건수의 약 16%에 해당하며, 그 외 주택 등 정형적 장소가 444건으로 86%에 해당한다.
일제조사 기간 중 발굴된 530건 중 187건(35%)에 대하여 긴급복지지원, 기초생활보장수급자 책정, 민간연계 후원원 등으로 지원을 완료하였으며 307건58%)은 조치 중에 있다.
현재까지 발굴 및 지원된 주요 사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형할인 마트 주변에서 노숙을 하는 박○○씨(57세, 女)와 딸을 조사한 결과 집은 온통 쓰레기로 가득 차 있었다. 또 정신질환이 의심되어 정신병원에 입원조치 후 기초생활 수급자로 보호함.
여관에서 어린 자녀 2명을 데리고 생활하던 김○○(45세, 男)씨가 6개월 동안 월세가 밀리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주민의 신고로 동 주민센터에서 민간기관과 연계하여 주거를 마련해 주고 기초생활 수급자로 보호 및 어린이집 보육료를 지원함.
1평 남짓한 창고에서 폐지를 모아 판 돈으로 생활하며 낮에는 무료급식소를 전전하던 이○○씨(51세, 男)를 서구 행복주거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임시 거주지를 마련해 주고 말소된 주민등록을 살려 기초생활 수급자로 보호함.
이번 일제조사는 시와 구·군의 조사추진단을 중심으로 경찰 및 지역복지협의체, 각종 민간단체 등의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이루어 졌으며, 특히 지역 언론의 홍보와 민간단체들의 참여는 시민들의 적극적인 신고전화로 이어져 많은 소외계층이 발굴 될 수 있었다.
대구시 권오춘 복지정책관은 “이번 일제조사에서 발굴된 대상자는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는 등 사례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며, “앞으로도 우리 지역의 소외된 이웃을 상시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계속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승영 기자 news7@stv.or.kr】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