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3 (화)

  • 맑음동두천 26.2℃
기상청 제공

문화

[STV]‘돌아가자, 장미 여관으로’ 첫번째 전시회 개최

  • STV
  • 등록 2012.01.03 10:09:19

런던의 43 Inverness Street Gallery가 서울에서 기획한 첫번째 전시

마광수 중심으로 Klega·이재우·Chad McCail 등 국적과 세대 다른 4명의 작가가 전시

 

 

'돌아가자, 장미 여관으로는 런던의 43 Inverness Street Gallery가 서울에서 기획한 첫번째 전시이다. 마광수를 중심으로 Klega, 이재우, Chad McCail 등 국적과 세대가 다른 네명의 작가가 전시에 참여한다. 터부일수도 있고 지나치게 남용되어 진부할 수도 있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진되기 어려운 주제인 성(sexuality) 4인의 작가가 각기 다른 각도에서 접근해 예술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이를 받아들이는 사회 체제의 한계성에 대한 논해 본다.

 

장미 여관은 신촌 연세대 앞에 실존했던 모텔의 이름이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마광수가 1989년에 발간한 시집가자 장미 여관으로이후 러브 호텔의 별명처럼 차용되어 쓰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네온사인으로 반짝이는 비밀스럽고 퇴폐적인 러브 호텔로서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동시에, 마광수의 동명의 시집을 읽어 보면 알 수 있듯이, 장미 여관은 사회의 규제와 윤리의 코드에 구애받지 않는 상상의 자유가 있는 곳, 현실을 떠나 잠시 쉴 수 있는 곳, 본능과 성의 상상력을 도덕적 판단의 잣대로부터 벗어나 펼쳐 볼 수 있는 상징적 장소이기도 하다.

 

예술 창작에서 주로 다루는 주제는 항상 삶의 근본적인 문제를 떠나기 어렵다. 탄생과 죽음, 애증의 관계, 다양한 감정의 스펙트럼, 죽음, 폭력, 전쟁, 파괴, 자연의 경이 등 말이다. 이 중 하나가 성(sexuality)이다. J G Ballard가 말했듯이20세기 이후의 인생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두가지 이슈가 Sex Paranoia(피해 망상) 라면 욕망과 두려움은 삶을 움직이는 큰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욕망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성이다. 인간은 성의 본능을 갖고 태어나 죽음까지 즉, 인간이 신체를 소유하는 존재인 이상 성의 본능을 버릴 수는 없다. 이렇듯 자연스러운 주제이긴 하지만 정치나 종교계 등의 기득권으로부터 가장 억압을 받아온 주제 중 하나이기도 하다. 지배 계층이 통치를 위해 자유로운 성의 표현을 제한했던 것은 세계 역사적으로 볼 때 드문 현상은 아니다.

 

Henry Miller북회귀선이 미국에서 1960년대에 외설 시비로 법정에 올랐던 사건, D. H. Lawrence ‘Lady Chatterley’s lover’ 1923년에 이태리에서 처음 출판되었으나 1960년대까지 영국에서는 출판이 금지되었던 것, Marquis de Saad 의 책 ‘120 Days of Sodom’을 기본으로 만들어진 Pier Paolo Pasolini의 영화 ‘Salo’가 지금도 몇몇 나라에서는 상영이 금지되어 있는 것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이런 글을 쓴 작가가 구금까지 된 것은 결코 흔한 일이 아니다. 1992년 마광수의 소설즐거운 사라는 출판에 이어 판금이 되었고, 작가는 사상범으로 구속 조치 되었다. 그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러브 호텔과 교회 십자가의 수가 막상 막하로 많은 대한민국에서즐거운 사라는 아직 판금이 풀리지 않은 상태이고 마광수의 이름 옆엔 여전히변태라는 별명이 따라 다닌다. ‘돌아가자, 장미여관으로는 이런 모순을 이야기 해보고자 하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동영상에서 섹슈얼 판타지가 난무하는 시대에서 작가의 역할은 그것을 카피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보다는 다시 성의 근본적인 색깔을 들여다 볼수 있게 해줘야 하는건 아닐까? 그러기 위해서는 창의성의 바운더리를 자극하는 극단의 상상력의 탐구가 받아들여질 수 있는 성숙한 사회 여건이 조성 되어져야 할 것이다. 전시에 참여한 네 작가는 단순히 말초 신경만을 자극하는 작업을 하기 보다는 성이란 어떤 면을 가진 개념인가를 , , 호기심, 욕망과 야심, 판타지, 성의 여러가지 색깔에 대한 자각, 중독성, 폭력성, 가학/피학성 등을 탐구하는 고집있고 진지한 작업 태도를 공유하고 있다. 마치 성이라는생명체실험하고연구하는 과학자들처럼.

 

마광수는 문인답게 시와 그림이 있는 신문인화를 그렸다. 먹과 파스텔등을 사용하여 만든 작업은 언어와 이미지가 분리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직설적이고 원색적인 느낌으로서 영원한Voyeur로서의 마광수가 쓴 시화로 된 메세지나 편지같은 느낌을 준다. Chad McCail은 죄의식으로부터 해방된 성의 입문 신화를 만들었다. 성경 창세기의 뉘앙스가 강한 설정과 인물을 등장시키며 사춘기 소년, 소녀가 성에 눈뜨는 과정을 자연스럽고 이상적인 관점에서 보여줌으로써 사회 시스템의 성에 대한 조작성과 제재(制裁)를 맥케일 특유의 방식으로 풍자한다.

 

그림 형제의 동화를 읽는 것처럼 유희화시킨 리얼리즘의 화법으로 인간 본성의 어두운 면을 보여 주는 작업을 해온 이재우의 이번 전시를 위한 그림들은 드로잉과 유화의 중간 지점에 머물러 있다. 셰잌스피어의한여름밤의 꿈을 보듯이 코믹하면서도 동시에 초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 이미지들이다. 연극의 세트처럼 연출된 느낌의 실내 공간에 앉아 있는 여자는 배경과 함께 녹아서 흘러내리는 듯해 보여서 은밀한 감정과 호기심을 엿보는 이에게 불러 일으킨다. 장면 자체가 감각의 스테이지 그 자체로 변한다.

 

핫백이 진화하여 남성의 성기가 돋아났다면 어떨까? 뜨거운 고무 물병에 달린 성기에서 금방이라도 흘러나올 듯한 액체가 연상된다. 패티시즘에서 애용되는 고무로 만들어진 살색의 용기가 인체의 도구화를 냉소적인 휴머로 이미지화하고 있다. 이번에는 코카콜라 캔이 서울의 담벼락을 서서히 관통(penetration) 한다. Klega의 작업은 지적인 ‘Visual Pun’ (시각적인 말장난)이라고 할 수 있다.

 

‘즐거운 권태와 감미로운 퇴폐미의 결합을 통한 관능적 상상력의 확장은 우리의 사고를 보다 자유롭고 풍요롭게 만들어 준다. 인류의 역사는 상상을 현실화 시키는 작업의 연속이었다. 꿈이 없는 현실은 무의미한 것이고 꿈과 현실은 분리되지 않는다. 꿈은 우리로 하여금 현실적 실천을 가능케 해주는 원동력이 되어 주기 때문이다. 시에서의 상상이 설사생산적 상상이 아니라변태적 공상이 된다 한들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시는 꿈이요, 환상이요, 상상의 카타르시스이기 때문이다. 꿈속에서 하는 행위조차 윤리나 도덕의 간섭을 받아야 한다면 우리의 삶은 정말로 초라하고 무기력해지고 말 것이다. 누가 뭐래도 나는 시를 통해서 사랑의 배고픔과 새디스틱한 본능들을 대리 배설시키고, 또 그럼으로써 격노하는 본능과 위압적인 양심 사이에 평화로운 타협을 이루고 싶다’ (마광수, 1989 4가자, 장미여관으로서문에서)

 

전시 기간은1 12일부터 2 10일까지이며, 초대 일시는 1 11일 수요일 오후 6시이다.

 

【임창용 기자 news@stv.or.kr

 www.stv.or.kr


문화

더보기
세계 미술 거장들, 서울 모인다…프리즈 전 분주 【STV 박란희 기자】다음달 개최되는 프리즈를 앞두고 미술계가 준비를 서두르는 모습이다. 다음달 9월 4~7일에 프리즈 서울 아트페어가 개최되는 가운데 프리즈에서 눈도장을 찍기 위해 주요 미술관과 갤러리들이 준비에 한창이다. 마크 로스코와 미리암 칸, 이우환 등 국내외 거장들의 작품이 총집합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예열이 활발하다. 송은은 9월 4일 ‘소장품의 초상:피노 컬렉션 선별작’ 전시를 연다. 마를렌 뒤마(남아공)를 비롯해 피터 도이그(영국), 미리암 칸(스위스), 얀보(베트남) 등 다양한 예술가들의 회화, 설치, 드로잉, 조각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60여 점이 선보인다. 20세기 미술의 거장인 마크 로스코는 한국 작가 이우환과 페이스갤러리 서울에서 2인전을 연다. 이우환은 로스코의 유족과 협업해 전시를 큐레이팅하며 공을 들이고 있다. 고미술을 주로 전시해왔던 호암미술관은 사상 처음으로 현대미술가의 개인전을 다음달 3일부터 연다. 스위스 출신 미술가인 니콜라스 파티가 회화, 조각 등 고미술 소장품을 함께 전시한다. 글로벌 메가 갤러리인 가고시안도 한국에서 첫 전시를 연다. 3일 개막하는 데릭 애덤스 개인전 ‘더 스트립’은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캐비닛에서

지역

더보기
프리드라이프, 상조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 론칭 【STV 박란희 기자】프리드라이프가 상조업계 최초로 호주로 크루즈 여행을 떠난다. 프리드라이프(대표 김만기)는 오는 11월 업계 첫 호주 크루즈 여행을 기념해 6월 한 달간 ‘처음 만나는 호주’ 크루즈 얼리버드 특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프리드라이프가 처음 선보이는 호주 크루즈 여행은 11월 3일 대한항공 직항으로 호주 브리즈번에 도착한 후 세계 최대 규모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 로얄캐리비안의 퀀텀호를 타고 7박 8일간 호주 일대를 누비며 관광과 휴양을 즐기는 상품이다. 브리즈번은 호주를 대표하는 제3의 항구도시로 아름다운 섬과 해변을 자랑한다. 브리즈번 강가에 자리한 인공 해변 스트리트 비치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마운틴 쿠사 전망대에 올라 탁 트인 브리즈번 시내를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식물이 가득한 도심 정원인 보타닉 가든과 40km의 황금빛 해변이 펼쳐지는 골드코스트 비치, 청록빛 바다와 해안선이 환상적인 에얼리 비치 등 호주를 대표하는 명소들이 즐비하다. 호주 퀸즈랜드주의 대표 휴양도시인 케언즈도 빼놓을 수 없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원시 열대우림 쿠란다는 영화 ‘아바타’의 모티브가 된 원시의 숲으로, 쿠란다 시닉 레일 웨리

연예 · 스포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