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화장장 부족이 심화되면서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화장시설 건립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하지만 화장시설 건립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아 건립 의지와는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장례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4, 5일장이 늘어나고 있다.
화장 대란 조짐을 보이자 수도권 화장시설을 중심으로 가동회차를 늘리고 있음에도 사망자 증가세를 이기지 못하고 3일장 비율이 줄고 있는 셈이다.
늦은 오후에 화장을 마친 이들은 인근 봉안당이나 자연장에 곧장 안치를 하기 어려워 유골함을 차에 임시 보관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에 서울시립승화원에서는 ‘하늘 정거장’이라는 이름 하에 유골 임시보관 서비스를 개시하기도 했다.
이처럼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 권역에서 화장시설 부족으로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데도 화장시설 건립이 더딘 이유는 무엇일까.
업계에서는 화장시설을 기획하고 완공하는 데까지 10년의 세월이 걸린다고 본다.
지역주민의 신청으로 후보지를 선정하고, 이를 실사해 최종 후보지로 선정한다. 이후 타당성 조사를 거쳐 부지를 수용하고, 환경영향평가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물 흐르듯 이뤄진다고 해도 보통 5~6년은 걸리기 마련이다. 건립 과정에서 가장 큰 난관은 무엇보다도 지역주민의 찬반 여부이다.
최종 후보지 주민들이 찬성하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해도 인근 지역 주민들이 완강하게 반대하고 나서면 지역갈등의 소지가 되고, 반대 여론에 부담을 느낀 지자체장들은 화장시설 유치를 포기하게 된다.
지역주민 반대를 무마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인센티브 부여뿐만 아니라 지난한 설득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하나, 이 또한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500억원이 넘는 예산이 소요될 경우 중앙투자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여러 지자체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광역화장시설의 경우 어림잡아도 7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지역주민의 찬성을 얻어도 중투심과 환경영향평가, 토지 수용 및 보상을 거치면서 시간은 흐른다.
결국 현재 화장시설 부족으로 아우성인 수도권에 광역화장시설이 여럿 건립되기 위해서는 최소 5~10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뜻이다.
그 전까지는 화장시설 확보가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화장장에서 추가로 화장로를 가동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 장례업계 전문가는 “화장시설이 부족하다고 해서 즉시 만들어낼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모든 사업에는 과정과 절차가 있어서 시간이 소요된다”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