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김충현 기자】임혁백 더불어민주당 공천관리위원장이 ‘윤석열 정권 탄생 책임론’을 거론하며 친문 인사들의 불출마를 압박했다.
이재명 대표가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 봉합된 것으로 보였던 계파 갈등이 재점화되는 분위기이다.
결국 임 위원장이 비명계 솎아내기에 돌입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임 위원장은 전날 경선 지역 1차 발표를 마치고 “선배 정치인은 후배들을 위해 길을 터줄 수 있도록 책임 있는 결정을 부탁한다”면서 “윤석열 검찰 정권의 탄생 원인을 제공한 분들 역시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윤석열 검찰 정권의 탄생 원인을 제공한 분들’은 친문재인계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임 위원장이 친명계 공천을 위해 친문계 등 비문계 찍어내기 작업을 진행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친명계’ 좌장 정성호 의원은 전날 KBS 라디오에 출연해 “임종석·노영민 전 실장과 관련해서, 윤석열 정권이 들어선 데 대해 문재인 정부에서 가장 책임 있는 역할을 했던 분들이 책임을 져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일부 여론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 두 사람을 강하게 압박했다.
임종석·노영민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인사 검증 등에 관여했기에 윤석열 대통령의 서울지검장 발탁과 검찰총장 임명에 역할을 하지 않았느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임 전 실장은 “누가 누구를 탓하는 것은 (대선 패배의) 아픔을 반복할 수 있다”면서 강하게 반발했다.
당 안팎에서는 공관위의 하위 평가자 명단에 친문계를 포함한 비명계 의원들이 대거 포함됐다는 말이 떠돌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