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 대표·전문가 등과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개최
충청남도 내에는 현재 70여개 전통시장이 있다.
도는 이들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2001년부터 2011년까지 11년간 모두 2450억원을 투자했다.
주차장 등 시설현대화 사업과 상인 교육 등 경영현대화 사업이 진행된 시장의 1일 평균 매출액 증가율은 7% 가량.
사업이 추진되지 않은 시장의 매출이 24% 감소한 점을 감안하면, 도의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은 상당한 성과를 거둔 셈이다.
그러나 전통시장 대부분은 대형마트나 SSM, 온라인 쇼핑 등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로, 차별화된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도가 12일 충남발전연구원 전통시장연구회(회장 권영현)와 공동으로 개최한 ‘전통시장 활성화의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는 바로 이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도내 시·군 상인회장과 전문가, 도 및 시·군 관계 공무원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토론회는 ▲맹부영 도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의 ‘충남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의 성과와 과제’ ▲진영효 두리공간환경연구소 소장의 ‘지역친화형 종합적·체계적 전통시장 정책추진 방향과 과제’ ▲허남혁 충발연 책임연구원의 ‘로컬푸드와 연계한 전통시장 활성화’를 주제로 한 발표와 토론이 잇따랐다.
주제발표에서 진영효 소장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자산을 활용하고, 지역민이 주도하는 전통시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며 “전통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을 육성하고,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한 마을만들기를 추진함은 물론 지역산업단지와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진 소장은 이어 “충남도가 관심을 갖고 있는 로컬푸드 및 6차 산업 활성화와 연계한 시너지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허남혁 책임연구원도 주제발표를 통해 “먹거리와 생산자-소비자의 거리를 가깝게 하자는 로컬푸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전통시장의 특색을 살리면서 지역을 찾는 방문객이나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한 먹거리 상품의 차별화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서는 정보화(와이파이존)와 상생산업단지와의 연계 등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주제의 토론도 이어졌다.
윤정미 충발연 책임연구원은 “지난 2010년을 기준으로 전국 1500여 전통시장 중 홈페이지가 있는 곳은 5% 미만, 인터넷 쇼핑몰 운영은 1% 미만”이라며 “환경 변화에 부응한 정보화 사업 추진 등 전통시장의 부가 서비스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윤 책임연구원은 그러면서 젊은 고객층 유입과 시장 내 온라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와이파이존 마련, 상인들에 대한 정보화 교육 등을 제안했다.
맹부영 과장은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도에서 실현할 수 있는 전통시장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을 통해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강구할 것”이라며 “특히 도가 추진 중인 사회적기업과 마을기업, 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 정책 및 로컬푸드 정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이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임창용 기자 news@stv.or.kr】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