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기후·에너지 자원도”는 도내 각 지역의 기후·기상과 에너지의 생산·이용을 일제히 조사 분석하여 D/B화 하고, 이를 지도로 제작하여 지역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기온, 습도, 강수량, 일사량, 풍향, 풍속 등 기후·기상요소와 전력, 가스, 상수도 등 에너지의 생산과 사용현황 등 기후·에너지 관련 모든 자료를 GIS를 기반으로 하여 D/B화 하게 되며, 이를 도면으로 제작함으로써 기후·기상 요소 및 에너지의 생산·이용현황 등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앞으로 자원도가 완성되면 지역의 각종 개발계획 수립·추진 시에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 검토는 물론, 바람, 일조량 등 입지조건에 따른 차별화된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 및 보급, 기후 여건에 알맞은 농작물 재배 및 관광개발 등 다양한 분야의 시책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
이와 관련, 경북도는 지난 2월17일 제1차 중간보고회를 개최하여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등 지역대학은 물론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울산발전연구원 등 타시도 전문가와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후변화적응센터” 등의 전문가들과 함께 자문과 토론을 갖고 사업추진에 탄력을 붙이고 있다.
한편, “경상북도 기후·에너지 자원도”는 현재 대구경북연구원의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제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난해 7월부터 시작해 내년 1월 말까지 약 20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상북도 김학홍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자원도가 완성되면 도와 시군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과 각종 개발계획을 수반하는 정책수립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며 “구축된 DB중 일정부분은 일반에게 공개하여 지역주민들도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승영 기자 news7@stv.or.kr】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