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주한美대사, 우크라 거론 “韓에서 ‘서울 패싱’ 우려 커질 수도”

2025.02.20 05:55:34

北과 직거래시 韓 우려 전망


【STV 차용환 기자】캐슬린 스티븐슨 전 주한 미국대사는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를 배제하고 러시아와 협상해 유럽을 놀라게 했다면서 북한과 직접 대화할 경우 한국에서도 ‘서울 패싱’ 우려가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따.

스티븐스 전 대사는 이날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빅터 차 한국 석좌가 진행한 팟캐스트에 출연해 “러시아와 미국의 협상이 우크라이나의 참여 없이 진행되고 있다”며 “유럽의 동맹국들도 첫 번째 회의를 보고 놀랐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이어 “한국인들이 그 장면을 볼 때 트럼프 행정부가 언젠가 테이블에 한국이 없는 곳에서 (북한과) 대화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할 것”이라면서 “트럼프가 일본 총리와의 기자회견에서 김정은과의 우정에 대해 따뜻한 말을 한 것을 한국에서도 눈치챘을 것”이라고 했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한국에서는 ‘서울 패싱’에 대한 불안이 높을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직거래’에 나설 경우 미국과 러시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가 뒷전이 된 것처럼 안보 위협의 당사자인 한국이 배제당할 수 있따는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서울 패싱’ 여부는 아시아 정책을 담당하는 미 행정부에 누가 있는지도 중요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 관계가 어떻게 발전할 것인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했다.

그는 “일반적으로 지난 수십 년간 미국에서는 동맹에 대한 초당적 지지가 깊어지고 있다”며 “이러한 제도적 틀이 (트럼프식 외교의) 비전통적 스트레스와 긴장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소망을 밝혔다.

스티븐스 전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동맹국에 대한 조치 중 가장 시급한 문제는 관세”라면서 한국산을 포함한 외국산 철강에 25% 관세 부과 등을 예시로 들었다.



차용환 기자 tk2018@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