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00명 사망하는데"…자궁경부암 위험도 인식 낮아

2017.08.17 09:27:44

【stv 사회팀】= 국가 5대암에 속하는 자궁경부암으로 매년 900여명이 목숨을 잃고 있지만 그 위험성에 대한 국민인식은 여전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HPV(사람유두종바이러스) 국가예방접종사업 미접종 가정의 보호자 1000명을 상대로 미실시 사유를 전화설문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16일 밝혔다.

 응답자중 '자궁경부암이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질병이다'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사람은 60.5%에 그쳤다. 이어 '보통'은 23.0%, '비동의'는 12.3%, '모름·무응답' 4.2% 순이다.

 또 미접종시 자녀가 자궁경부암에 걸릴 수 있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는 38.1%에 불과했다.

 질병관리본부는 "예방접종 대상자인 만 12세인 자녀의 암 발생 위험과 백신의 유용성을 즉시 체감하지 못하는 보호자가 많아 관련 인식이 높지 않다"고 분석했다.

 또 보수적인 성문화로 인해 부모 입장에서는 자녀의 HPV에 대한 백신의 필요성을 낮게 평가하는 것도 또 다른 이유로 보인다. HPV는 주로 성접촉으로 전파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청소년기 2회 접종만으로 HPV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예방접종 외에 여성청소년의 사춘기 성장발달과 초경 관련 의료인의 1대 1 표준건강 상담을 함께 제공한다는 점에서 예방백신 접종의 필요성이 높다는 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반면 불신의 골도 깊었다.

 이번 조사에서 '백신이 유용하다'는 유용성을 인정하는 보호자는 45.7%뿐이었다. 오히려 응답자의 61.5%가 '백신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HPV 국가예방접종사업이 도입된 이후 지난해와 올해 백신 접종건은 약 50만건에 달하지만 사망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중증 이상반응은 한건도 없었다.

 이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HPV 백신 부작용이 심각하다는 내용의 부정적이거나 잘못된 정보에 많이 노출됐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응답자의 83.7%(837명)는 정부에서 백신과 접종비를 무료로 지원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접종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는 '부작용 우려'가 73.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이어 '의료기관 방문할 시간이 없어서가' 17.8%, '성인이 되면 맞추려고'가 11.3% 순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접종 대상자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제공을 위해 현재까지의 이상반응 의심 신고 현황과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 결과 등을 투명하게 공개할 방침이다.

 또 교육당국의 협조를 받아 보호자들이 궁금해하는  백신의 효과성, 안전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해 학부모들의 불신을 해소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