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소문으로 홍보 OK'…화장시설 옆 장례식장이 잘되는 이유

2025.07.21 13:15:59

'존재 자체가 마케팅'…입지로 신뢰 얻는 장례식장


【STV 박란희 기자】죽음을 다루는 상조·장례 산업은 마케팅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 대중은 죽음을 꺼리고, 기업은 그것을 정면으로 다루지 못한다. TV 광고나 대면 영업은 효과가 제한적이고, 이미지 마케팅은 거부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계를 넘는 입지 전략이 존재한다. 바로 화장장 인근 장례식장이다.

화장장은 지역마다 1~2곳뿐이며,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보건복지부 예약 시스템을 통해 관리된다. 고인의 장례 절차를 밟는 데 있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필수 시설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만큼, 누구나 반드시 한 번은 발을 들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가족과 조문객에 자연스럽게 인근 장례식장이 노출된다. 별다른 홍보 없이도 브랜드 인지가 형성되고, 이는 곧 실제 이용으로 이어진다.

경기 남부 지역의 한 화장시설 인근 장례식장을 방문했던 김모(58)씨는 "지인이 상을 당해 장례식장을 방문했는데 바로 옆에 화장장이 있는 걸 보고 신기했다"면서 "상주랑 이야기를 나눴는데 '화장하는 데 편할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들어서 나도 이 장례식을 이용하겠다고 마음 먹었다"라고 말했다.

최모(62)씨도 "처음에는 '장례식장 위치가 시내와 좀 거리가 있다'라고 생각했는데  어차피 차를 이용해서 불편함은 없었다"라면서 "상주가 편하다고 하니 장례식장이 화장장 근처에 있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라고 귀띔했다.

화장장 근처 장례식장이 강한 경쟁력을 가지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장성'과 '접근성'이다.

상조회사나 장례식장이 억지로 광고하지 않아도, 그 장소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인식되고 선택될 기회를 얻게 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장례나 상조는 결국 사람이 겪는 일에서 출발하는 서비스다. 필요한 순간, 가장 가까이에 있는 업체가 신뢰를 얻는다”며 “억지로 죽음을 포장하는 광고보다는, 실제 죽음을 겪는 현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상조업계 관계자는 “화장장 옆에 간판이 하나 걸려 있는 것, 그리고 거기에 상주 직원이 있다는 것만으로 TV 광고 몇 편보다 강력하다”며 “앞으로는 상조와 장례를 하나의 흐름으로 보고, 마케팅 전략도 함께 움직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장례 산업의 마케팅은 복잡하지 않다. 필요한 순간에 가장 먼저 떠오르게 만드는 것, 그 자리에 있는 것, 그것이 진짜 경쟁력이다. 그리고 화장장 옆 장례식장은 그 조건을 가장 자연스럽게 충족하고 있다.



박란희 기자 24news@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