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수출 베트남産 제품 관세 2배로 재계 “영향 제한적”

2025.07.04 11:45:28

美, 10% 관세를 20%로


【STV 차용환 기자】미국이 베트남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종전의 두 배인 20%로 상향 조정하기로 하면서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마련한 국내 기업 상당수는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일부 업체들은 앞서 미국이 예고한 세율(46%)보다 크게 낮아졌으며, 관세의 불확실성이 해소됨에 따라 예측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해 베트남과의 무역 협상을 끝냈다. 이는 두 나라의 협력을 이끄는 위대한 합의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로써 베트남은 영국에 이어 미국과 관세협상을 마무리 지은 2번째 국가가 되었다.

미국은 베트남에서 생산돼 들어오는 모든 제품에 2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따.

다른 국가가 베트남을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환적 물량에는 40%의 관세를 매겨 중국의 우회 수출을 막았다.

미국은 그간 베트남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매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발표하면서 베트남에 46%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은 바 있다.

대미 수출 관세율이 상승하면서 베트남에 생산 기지를 마련한 국내 기업은 관세 인상분을 판매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면 수익성이 하락한다.

삼성전자는 미국 수출 스마트폰 물량 대다수와 가전제품을 베트남에서 생산한다.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도 베트남에서 제품을 생산에 미국으로 수출한다.

이들 대기업들은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은 기존의 46%보다 관세율이 대폭 낮아 한숨을 돌리는 분위기다.



차용환 기자 tk2018@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