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무역 상대국에 대규모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각국이 긴급 대응에 나섰다. 7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관세 위협이 현실화되자 60여 개국이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을 속속 발표했다.
브라질은 50% 관세 부과에 맞서 피해 기업을 위한 금융 지원책을 준비 중이다. 정부는 국영 개발은행이 관리하는 55억 달러 규모의 수출보증기금을 활용해 고용 유지 조건으로 저금리 신용대출을 제공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룰라 대통령은 중국·인도 등 브릭스(BRICS) 정상들과 공동 대응을 논의할 계획이며, 미국의 조치를 “용납할 수 없는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스위스는 선진국 중 가장 높은 39% 관세가 부과됐다. 카린 켈러주터 대통령 겸 재무장관은 “현재 협상팀이 미국에 머물며 새로운 협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지만, 전날 직접 미국을 방문해 시도한 막판 협상은 실패했다. 스위스 정부는 경기침체와 대량실업 우려에 따라 ‘단축근로보상 제도’ 신청 가능 기간을 기존 18개월에서 24개월로 연장하기로 했다.
라오스는 40% 관세로 수출산업에 직격탄을 맞을 전망이다. 의류 제조업체 디엡부의 요하네스 소머스 회장은 “40% 관세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산업에 사실상 사형선고”라고 말했으며, 현지에서는 최대 2만 명의 노동자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영국, EU, 한국, 일본 등 일부 국가는 협상을 통해 관세 인하를 이끌어냈다. EU는 15%로 낮췄지만,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는 27.5%의 개별 관세율이 적용돼 불만이 나온다. 독일자동차산업연맹 힐데가르트 뮐러 회장은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27.5% 관세는 제조업체와 공급업체에 큰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아일랜드는 미국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관세 발효 직전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소셜’에 “자정이 됐다. 수십억 달러가 미국에 유입되고 있다”며 자화자찬했고, “미국의 위대함을 막을 수 있는 것은 우리나라가 실패하기를 바라는 급진 좌파 법원뿐”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