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박란희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 ‘H20’ 칩의 중국 수출을 허용한 건 지난달 미·중 간 무역 협상에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통제를 해제하기로 한 데 대한 조치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15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에서 “우리는 중국과 희토류 자석 수출 재개를 합의했고, 그 대가로 중국에 칩을 다시 팔겠다고 했다”라면서 이처럼 말했다.
지난 6월 런던에서 열린 2차 미·중 무역 협상에서 양국은 상호 수출 통제를 일부 해제하기로 했고, 이번 결정은 그 일환이라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H20 칩에 대해 “오래된 칩”이라면서 “우리는 중국에 최고의 제품을 팔지 않는다. 네 번째 수준의 칩만 판매할 뿐”이라고 했다.
그는 “엔비디아는 이미 더 성능이 높은 블랙웰, H200, H100 칩을 보유 중”이라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에 대해 “중국이 자체 개발할 수준보다 한 단계 앞선 기술을 계속 개발하고 그보다 낮은 수준은 중국이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라면서 “중국 개발자들은 미국 기술이 중독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엔비디아는 앞서 바이든 행정부 시절 고성능 AI반도체의 대중 수출이 제한되면서 이를 우회하기 위해 성능을 낮춘 H20 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순부터 H20칩 역시 수출 허가제를 적용해 통제했다.
H20칩 수출 통제는 5월 제네바와 6월 런던에서 열린 미·중 무역 협상에서 미국 측 협상 카드로 활용됐다.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을 관철시키며 H20 수출을 허가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