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V 김충현 기자】전국 지자체에서 화장시설을 지으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지만 순조롭게 추진되는 곳은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장례업계에 따르면 현재 각 지자체는 화장시설을 신설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역 내에 화장시설이 없을 경우 주민들의 원정화장이 불가피하다. 관내 지역이 아닌 관외 지역 주민의 경우 화장비용은 5~10배가 높다.
게다가 화장을 대기하는 인원이 많을 경우 3일장은 언감생심이며, 4~5일장도 감수해야 한다.
이처럼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부담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화장시설 신설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지자체나 지자체장의 의지와는 달리 화장시설 신설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경기 이천시는 화장시설을 신설하려 했으나 인접지역인 여주시가 화장시설 후보지가 여주와 인접했다는 이유로 강하게 반발하면서 결국 무산됐다.
경기 가평군 또한 가평군, 남양주시, 포천시, 구리시가 공동협약을 맺고 입지 선정까지 마쳤지만 후보지 선정에 실패했으며, 화장시설 건립 반대 주민들에 밀려 무기한 연기됐다.
양주시 또한 인근 6개 지자체들(의정부시, 남양주시, 구리시, 포천시, 동두천시)과 화장시설 건립을 추진했으나 주민들의 반대 및 시의회의 부지 재검토 주장으로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화장시설 건립이 어려운 것은 화장시설 건립을 주장하는 지자체장과 반대 주민들의 견해가 엇갈리기 때문이다.
지자체장은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하루 빨리 화장시설을 건립해 업적을 세우고 싶어한다. 화장시설을 건립할 수 있다면 해당 지자체장의 업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화장시설 후보지 주민들이나 인접 지역의 주민들의 입장은 이와는 다르다. 화장시설의 유치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마음을 돌려놓는 것을 우선순위로 여겨야 한다.
광역 화장시설의 성공모델로 자리잡은 화성함백산추모공원은 건립 시도 당시 서수원 주민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환경영향평가’ 등을 앞세워 여러차례 소송을 걸었고, 화성시가 이에 대응하느라 쩔쩔 맸다. 게다가 후보지에 첫 삽을 뜨려고 하니 난데없이 ‘맹꽁이 서식지’가 발견되기도 했다.
함백산추모공원 건립사업을 진행한 화성시는 지역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수 차례에 걸쳐 주민 공청회와 공개설명을 진행했다.
맹꽁이 서식지까지 이전하면서 진행된 함백산추모공원 건립사업은 크게 성공했고, 화성시를 포함해 지자체 7곳 협업의 모범사례로 남게 됐다.
결국 화장시설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이 ‘이제는 괜찮다’라고 할 정도로 주민설명회를 진행해야 하며, 막대한 인센티브를 부어 불만을 완전히 잠재워야 한다.
주민들의 일치단결된 여론 없이는 화장시설 추진은 어렵다고 보는 게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