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컵 주성분인 미세플라스틱, 다양한 질병 유발해…

2023.02.28 12:00:59

일회용기 미세플라스틱 검출량 다회용기보다 최대 4.5배 많아


【STV 임정이 기자】한국소비자원에서 시중에 활발하게 유통 중인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기 16종과 다회용기 4종을 시험한 결과,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검출량이 다회용기보다 4.5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28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이란 통상 5㎜ 미만의 플라스틱 조각을 의미한다.

일회용기의 경우 용기 1개당 1개~29.7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다회용기는 0.7개~2.3개의 미세플라스틱이 각각 검출돼, 일회용기가 4.5배 더 검출된 것으로 조사돼 논란의 반석 위에 올려졌다.

이번 조사 대상 제품에서 가장 많이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것은 플라스틱 컵과 페트병으로 47.5%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폴리프로필렌이 27.9%로 2위를 차지했다. 또한 종이컵에 코팅되는 폴리에틸렌의 경우는 10.2%로 검출됐다.

이와 더불어 제조·포장·유통 시 외부 오염으로 인한 혼입으로 추정되는 주 원재료 외의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도 함께 검출돼 경악을 멈추지 못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계해 가정해보았는데 커피를 모든 사람이 일회용 컵에 마신다는 전제 아래, 성인 1인당 연간 커피 소비량을 377잔으로 대입한 결과 개인별로 노출될 수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연간 약 2639개 수준으로 나왔다.

중요한 것은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고, 앞서 말한 조사 결과처럼 1년 치 미세플라스틱이 우리 몸에 흡수되는 수는 어마어마하다. 이렇게 우리 몸에 흡수된 미세플라스틱은 조직염증, 세포증식, 괴사, 면역세포 억제 등을 유발한다. 또한 에스트로젠 수용체와 결합하여 갑상선 호르몬의 작용을 방해, 췌장 베타세포 기능 방해, 비만 작용, 생식독성, 발달장애 및 심혈관계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위해 첨가되는 가소제로서 PVC 제작에 사용되는데 이는 생식계 발달장애, 기형 등 다양한 독성을 유발해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는 실태다.

여기에 덧붙여 소비자들이 일주일에 약 1.9회 정도 배달 음식을 주문한다 가정하면, 연간 미세플라스틱 노출량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배달·포장 시 일회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하면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줄일 수 있다고 충조평판했다. 

한편 소비자원은 이번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부처에 일회용기의 미세플라스틱 관리 방안 마련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정이 기자 dladudwl1000@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