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청와대는 10일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 논란과 관련해 "임명 취지에 대해서 널리 이해를 구하며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즉각 임명 철회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의 인사문제로 걱정을 끼쳐드려서 국민 여러분께 송구스럽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박 본부장은 황우석 교수 사건 당시 과학기술 보좌관이었기 때문에 그 사건에 대한 무거운 책임이 있다"며 "그리고 그 책임을 지고 보좌관 직에서 물러난 바도 있다"고 언급했다.
박 대변인은 "하지만 모두 아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IT분야로 과학기술 분야의 국가경쟁력은 참여정부 시절 가장 높았다. 그 점에서 박 보좌관은 공도 있었다"며 "그의 과와 함께 공도 평가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참여정부는 과학기술분야의 연구개발 예산 배분이 경제부처로부터 독립해 과학기술계의 중심, 연구자 중심으로 이뤄져야한다는 판단으로 과기부 장관을 부총리로 격상하면서 과기혁신본부 신설했다"며 "그러나 이것이 제대로 정착하지 못한 가운데 정권이 바뀌고 폐지됐기에 과기혁신본부의 위상과 역할, 기능은 아직 충분히 정립되지 않았고 운영의 경험도 일천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게다가 지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부총리의 위상을 갖고 있지도 않아서 과기혁신본부가 충분한 위상과 힘을 갖고 역할을 다하게 하는 것은 새 정부의 큰 과제중 하나"라며 "박 본부장은 참여정부 때 과기혁신본부를 구상한 주역 중에 한 명으로, 그의 과가 적지 않지만 혁신본부의 적임자라 생각했다"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박 본부장을 임명한 취지에 대해서 널리 이해를 구하며 이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의견을 경청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