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과거 황우석 교수의 논문조작 사건에 연루됐던 박기영 전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을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으로 임명한 것을 두고 8일 과학기술계와 시민단체, 정치권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다.
이날 임명 후 정부과천청사로 첫 출근한 박 본부장은 오전 기자실을 방문해 출입기자들과 인사를 나눴다. 하지만 최근 논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나중에 설명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전국공공연구노동조합은 이날 '한국 과학기술의 부고(訃告)를 띄운다'는 성명을 내고 "박기영 교수는 황우석 사태를 불러일으킨 핵심 인물로, 온 나라를 미망에 빠뜨리고 노무현 대통령의 눈과 귀를 멀게 한 장본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연구 부정행위를 저지르고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했으며, 자신의 잘못에 대해 일말의 책임감도 반성이나 사과도 없었다. 문재인 정부는 정치권을 맴돌며 그럴듯한 '4차 산업혁명'의 미사여구와 얄팍한 '쇼'로 장밋빛 환상을 설파하던 자를 혁신본부장으로 임명한 것"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공공연구노조는 "박기영 교수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은 한국사회 과학 공동체에 대한 모욕이며 과학기술체제 개혁의 포기를 의미한다"며 "문재인 정부는 책무성과 윤리성을 갖추지 못한 자의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녹색당도 성명을 내고 "그녀는 노무현 정부 시절에 일어난 황우석 사태에 연루됐던 '황금박쥐(황우석, 김병준, 박기영, 진대제)'의 핵심 인물이었다"며 "박기영 교수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임명은 잘못된 일이다. 하루 빨리 임명을 취소하라"로 요구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박기영 교수의 저서에 추천사를 쓰며 그를 치켜세운 바 있다. 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그녀를 비례대표 후보로 공천하기도 했다"며 "잘못된 선택이다. 4차 산업혁명을 빌미로 '제2의 황우석 사태'를 만들지 않으면 다행"이라고 비판했다.
건강과대안, 녹색연합, 보건의료단체연합, 서울생명윤리포럼, 시민과학센터, 참여연대, 한국생명윤리학회, 환경운동연합, 환경정의 등 시민단체도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황우석 사건의 핵심 인물이었던 박기영 전 보좌관을 임명한 것에 강력히 반대한다"며 "즉각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인사는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신뢰를 송두리째 무너뜨리는 것"이라며 "역사에 남을만한 과학 사기 사건에 책임이 있는 인물을 과학기술정책의 핵심 자리에 임명한 것은 촛불민심이 요구한 적폐세력 청산에 배치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박 전 보좌관은 황우석 박사에게 256억원의 연구비를 지원했고, 복제 실험이 법률에 위반되지 않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역할을 했다"며 "(논문조작 사건) 이후 황우석 박사의 연구소 개소식에 참석해 지속적인 친분을 공개적으로 과시하기도 했다"고 꼬집었다.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당도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바른정당 전지명 대변인은 이날 구두논평을 통해 "과거 황우석 사건 연구부정에 동참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과학기술혁신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부적격하다"며 "막대한 국가예산이 배정되고 과학기술분야의 혁신을 이끌어 가야할 기관에 그런 부정행위 전력이 있는 사람을 발탁한 것은 참신한 인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국민의당 양순필 수석부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박 본부장 임명은 책임을 져버린 '황우석 고양이'에게 과학기술의 미래라는 생선 가게를 맡긴 꼴이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한편 박 본부장은 참여정부 시절인 2002~2003년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2분과위원회 위원, 2004년부터 대통령비서실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을 지내다 2006년 1월 황우석 교수의 논문조작 사건에 연루됐다.
박 본부장은 당시 논문조작으로 밝혀져 취소된 황우석 교수 논문의 공저자 중 한 명이었다. 당시 청와대 내에서 황 교수의 연구비 퍼주기를 이끌었고, 논문조작 진실의 규명을 막아 황 교수를 비호하는 일에도 앞장섰다는 비판도 받았다.
이후 박 본부장은 검찰 수사에서 처벌은 피했으나, 청와대를 떠나야 했다. 하지만 1년 여 뒤 2007년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으로 위촉되면서 활동을 재개했다. 그러다 순천대학교에서 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 다시 청와대의 부름을 받게 됐다.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무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차관급 자리다. 20조원의 정부 연구개발비를 심의 조정할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가졌다.
청와대는 박 본부장을 임명하며 "식물분자생물학 분야에서 손꼽히는 과학자로서 탄탄한 이론적 기반과 다양한 실무경험을 겸비했다.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핵심과학기술 연구개발 지원 및 과학기술분야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나갈 적임자"라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