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시진핑 중국 주석에게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시기에 한국을 방문할 것을 요청했다. 나아가 두 정상은 한중 사드 갈등에 대해서는 '이견(異見)이 있는 부분'으로 간주하기로 했으며, 지난 4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것에 대해서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
세계 주요 20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독일을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베를린 한 호텔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별도 정상 회담에서 이같이 뜻을 모으며 한반도 정세를 논의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밝혔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애초 40분 회담 시간을 훌쩍 넘긴 75분간 동안 대화를 나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시 주석에게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시즌에 방한해 줄 것을 구체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도 향후 중국에 방문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날 정상회담에서 가장 관심을 모은 주제는 북한 문제 해법과 사드 이슈였다. 두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이 공동의 목표임을 재확인했다. 이를 위해 북한에 강력한 제재와 압박을 가하면서 추가적 도발을 하지 않게 하되 평화적 해결이란 올바른 선택을 내리도록 한국과 중국이 협력을 강화하자는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제제·압박을 통해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국이 유엔 안보리 의장국으로 지도적 역할을 해달라. 앞으로 중국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보다 더 많은 역할을 해주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또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G20 정상회의 직전 이뤄진 것을 감안해야 한다. (G20 행사 취지가) 경제 문제를 다룬다는 점은 알지만 (북한 도발이란)중대 문제를 논의하지 않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G20) 참석 정상들이 공동의 노력을 경주해 나갈 의지를 표명하는 게 필요하다"고 북한 문제 해결에 세계 주요국이 머리를 맞댈 것을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전날 만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에게도 G20에서 북한 문제 해결이 주요 의제로 다뤄지길 바란다는 뜻을 전했다.
시 주석은 남북대화 복원과 긴장완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고자 하는 문 대통령의 노력을 지지하고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신뢰와 인내를 바탕으로 남북한이 화해화 협력을 통해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통일 기반을 이뤄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대북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북핵·미사일 저지를 위해 최대한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 주변국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적절한 방안을 조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양 정상은 북한의 미사일이 한반도 역내 안정에 위협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는 원칙에 합의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한편 사드 문제에 대해서는 두 정상은 공동 선언 수준은 아니지만 '이견(異見)이 있는 부분'으로 보기로 했다. 중국이 사드를 이유로 자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사업자에 불이익을 주는 보복조치 등에 대해서는 해결까지 더 많은 실무적 노력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문 대통령은 "각종 제약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양국간 경제적·문화적·인적 교류가 위축된 게 사실"이라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것이 양국 관계발전에 미칠 영향을 감안해 각 분야에서의 교류협력이 더욱 더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시 주석의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시 주석은 "중국 국민들의 관심과 우려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나 양국 간 교류협력이 정상화되고, 나아가 보다 높은 차원에서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사드 배치 문제 등으로) 전 정부 때 흔들렸던 신뢰관계를 회복하는 것에 양국 정상이 초반부터 의견을 같이했다. 이견이 있는 사드 부분은 충분히 실무적으로 해나가기로 했다"며 "사드로 인한 양국 간 문제를 서로 논의를 통해서 해결하고 보다 더 높은 차원으로 교류를 발전시켜 나가자고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사드 문제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인한 것이기에 (환경영향평가 강화와 국회 비준 동의 등) 절차적 정당성으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기간 중 북핵문제 해법을 찾아낸다면 결과적으로 사드 문제는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겠느냐는 기존 논리로 설명했다"고 전했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