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이준서 공모 입증 주력···문준용 취업 특혜 여부도 수사

2017.07.05 09:05:18

【stv 정치팀】=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 취업 특혜 의혹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4일 국민의당 이준서 전 최고위원을 재소환하면서 공모 혐의 입증에 수사력을 쏟고 있다.

 서울남부지검 공안부(부장검사 강정석)는 이날 오후 3시 이 전 최고위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했다. 그는 전날에도 오전부터 17시간 넘게 조사를 받았다.
 
 이 전 최고위원은 청사에 들어가기 전 취재진에게 "지난달 24일 이씨에게 이용주 의원을 만나지 말라고 강요한 적 없다"면서 "저는 지난 25일 전까지 조작 사실을 안 적이 없다"고 혐의를 재차 부인했다.

 또 이씨에게 제보 자료를 가져오라고 재촉한 경위에 대해서는 "기사도 내려면 타이밍이 있지 않은가. 그에 따른 얘기를 해준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는 당시 대선을 얼마 앞두지 않은 상황이라 이 전 최고위원이 이씨에게 준용씨의 미국 파슨스 스쿨 동료 증언 녹취 파일을 독촉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가 한번에 끝나는 경우는 드물다. 특정인에 대한 혐의 유무를 사실 규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이 전 최고위원을 재소환했다"며 "현재 이 전 최고위원의 공모혐의 입증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전 최고위원의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 영장 청구 검토를 하고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검찰은 현재 이씨와 이 전 최고위원을 제보 조작 공범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이날도 이 전 최고위원을 상대로 이씨로부터 해당 제보를 넘겨받은 경위와 이씨의 범행을 알면서도 묵인했거나 직접 조작을 지시했는지 집중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또 이날 오전 10시에 조성은(29) 전 비대위원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 중이다. 대선 당시 선대위 상황실 부실장을 맡은 조 전 위원은 이씨로부터 지난달 24일 처음 조작 사실을 들은 인물이다. 

 조 전 위원은 취재진에게 "당시 이씨가 첫 통화에서 억울함을 토로하듯이 얘기했다"면서 "이씨가 모호하게 말했고, 이준서씨가 적극적으로 조작했는지, 자료 (조작을) 요구했는지 제가 정확하게 질문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찰 관계자는 "조사 과정에서 이씨가 검찰 소환 전에 조 전 위원을 만난 적이 있다고 얘기해서 전반적인 내용을 살펴보려고 불렀다"고 설명했다.

 8시간30분 가량 조사를 받고 오후 6시40분께 청사에 나온 조 전 위원은 "제가 이씨에게 조작 사실을 듣고 당에 보고한 첫번째 전달자였는데 나중에 진상조사 결과를 보니 제가 당시 들었던 내용이랑 달라서 많이 당황스러웠다. 저까지도 기망의 대상이 아니었나 싶다"고 토로했다.

 이씨도 이날 오후 2시부터 검찰 조사를 받고 있다. 검찰은 이씨를 긴급체포한 지난달 26일부터 매일 조사하는 등 고강도 수사를 계속해왔다. 이씨는 검찰조사에서 제보 조작을 지시한 '윗선'으로 이 전 최고위원을 지목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날로 예견됐던 두 사람 간 대질심문은 계획에 없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서로 진술이 엇가려도 필요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대질심문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오늘 대질심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제보 조작 사건 수사를 마무리 한 뒤 준용씨 한국고용정보원 취업 특혜 여부도 수사할 계획이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월11일 준용씨의 취업 특혜 의혹을 제기한 하태경 바른정당 최고의원을 허위 사실 공표죄로 검찰에 고발했다.

 검찰 관계자는 "제보 조작 사건과 준용씨 취업특혜 의혹 건 둘 다 고소, 고발 사건이지만 별개의 사건"이라며 "현재 조작 사건에 구속자(이유미)가 있기 때문에 이 사건부터 마무리 짓고, 특혜 채용 여부는 그 후에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전날 검찰에 피고발인 신분으로 소환된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이었던 김성호 전 의원과 부단장이었던 김인원 변호사도 이날 새벽까지 조사를 받고 귀가했다. 검찰은 이들도 추가 조사의 필요성이 있다며 조만간 재소환하겠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김 전 수석부단장과 김 전 부단장도 추가 조사의 필요성 있다. 재소환 날짜를 조율할 것"이라고 밝혔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