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정치팀】= 이른바 '문준용 제보조작 파문'으로 존립 위기에 처한 국민의당이 1일 국면전환을 위한 역공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국민의당은 또 조작 파문으로 몸을 바짝 낮추던 태세에서 벗어나 준용씨 특혜채용 의혹 진상규명을 주장하는가 하면, '청문회 슈퍼위크' 기간에도 예상과 달리 공세 수위를 낮추지 않았다.
대선 당시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을 맡았던 박지원 전 대표는 전날인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집권여당 추미애 대표는 청문회, 추경, 정부조직법 특히 대통령께서 외국 순방 중이지만 정국을 풀려고 하지 않고 꼬이게 문재인 대통령 훼방꾼 노릇만 한다"고 강력 비난했다. 추 대표는 최근 '조작 파문'을 거론하며 박 전 대표를 정면 겨냥, '윗선개입·기획설'에 연일 힘을 실어왔다.
박 전 대표의 페이스북 발언에는 사실상 추 대표에게 공세 중단을 요구하는 '경고' 메시지가 함축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이 김상곤 교육부, 송영무 국방부,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후보자 청문보고서 채택을 비롯해 추경 심사, 정부조직법 개정안 통과 등에 국민의당 협조가 절실한 상황인데 조작 파문으로 계속 공세를 이어갈 경우 쉽게 협조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에둘러 보낸 것이다.
국민의당은 아울러 '청문회 슈퍼위크' 기간 동안 김상곤·송영무·조대엽 후보자에 대해서도 당초 공세 수위를 낮출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강경 발언을 이어왔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지난 28일 송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박근혜 정부의 적폐를 청산하겠다고 국민들에게 호언장담해서 탄생한 정부라면 박근혜 정부보다 나아야 한다"며 지명철회를 강하게 요구했었다.
정치권에선 국민의당이 '조작 파문' 출구전략으로 '역공'을 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박주선 비대위원장의 전격 사과 이후 수일이 지난데다, 적극적 방어에 나서지 않을 경우 민주당이 조작 파문에 정치공세를 펼 시간적 여유만 주게 된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당 내부에선 "더 이상 가만히 있진 않겠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한 호남 지역구 의원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어려울 때일수록 도와야 되는데 민주당이 해도 너무한 것 아니냐"라며 "민주당이 계속 저러면 우리가 추경이고 뭐고 민주당에 협조를 하겠나"라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일각에선 민주당 공세가 계속될 경우 국민의당이 검찰수사 후 논의하기로 했던 '특검' 카드를 본격적으로 꺼내들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조작 파문을 준용씨 특혜채용 의혹과 함께 거론하면서 민주당의 공세에 부담을 주고, 그래도 공세가 그치지 않을 경우 본격적으로 정부여당에 대한 반격에 나선다는 것이다.
파문이 터진 직후 특검을 가장 먼저 거론했던 박지원 전 대표는 이와 관련 "하나 억울한 것은 취업비리 의혹은 사라지고 제보조작만 남아가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재차 준용씨 특혜채용 의혹 수사 필요성을 거론한 바 있다.
장석호 건국대 교수는 이에 대해 "국민의당은 '공격은 최상의 방어'라는 원리대로 민주당을 압박하는 것"이라며 "특검이라는 받아들일 수 없는 카드를 사용해 적당히 타협해서 사태를 마무리 짓자는 정치적 제스처"라고 했다.
다만 국민의당이 역공에 나서기엔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상휘 세명대 교수는 이와 관련 "지금은 국민의당이 매를 맞을 때"라며 "어떤 형태로든 국민의당은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 사태 반전을 위한 카드로서의 특검은 특혜채용 의혹 자체를 오히려 왜곡시키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