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에도 기록적인 폭염···전력 수급 문제없나

2017.07.10 09:05:23

【stv 경제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기록적인 폭염이 예상되면서 전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는 수요 예측에 비해 충분한 예비력을 확보한 만큼 전력 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예측을 웃도는 전력 수요와 원전 등 발전소의 고장으로 전력 수급에 차질이 벌어지는 상황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여름 최대전력수요는 폭염과 누진제 개편 등의 수요 증가요인으로 지난해보다 132만㎾(킬로와트)가 증가한 8650만㎾에 달할 전망이다.

정부는 피크 시 전력 공급능력이 9660만㎾로 1010만㎾(예비율 11.7%)의 안정적인 예비력을 확보, 전력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8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2도 이상 크게 오르는 등 예상을 넘어서는 폭염이 발생하더라도 예비력은 810만㎾(예비율 9.2%)를 유지, 전력수급에 있어 위기상황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정부는 예상했다.

고리 1호기가 가동 중지되는 등 발전기 4대가 폐지됐지만 신규 발전기가 15대 늘어 1444만㎾ 공급능력이 확대됐다는 이유에서다.

문제는 정부가 예상한 전력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다. 지난해에 산업부는 올 여름철 전력수요가 최대 8170만㎾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한때 예비력이 5.98%(예비력 503만㎾)를 기록했다.

associate_pic
예비력이 500만㎾미만으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비상경보가 발령되며, 500만㎾부터 100만㎾ 단위로 '준비→관심→주의→경계→심각' 단계 순으로 발령된다. 예비전력이 300만㎾미만으로 떨어지면 전력수급 비상조치 매뉴얼에 따라 긴급절전이 시행될 수 있다.

정부는 예상보다 전력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남에 따라 최단 시간 안에 발전이 가능한 양수 발전소를 즉시 가동할 수 있도록 수위를 가득 채웠다. 또 당시 정비 중이었던 월성 1호기와 당진 3호기도 재가동하기도 했다. 

올해에는 예비력 500만㎾ 이하가 예상되는 위기상황이 올 경우, 하반기 준공 예정인 발전기를 시운전할 예정이다. 또 변압기 전압조정과 공공부문 비상발전기, 냉방기 원격제어 등 단계별 비상대책(233만㎾)을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에서는 정부가 추진 중인 탈원전 정책으로 전력 수급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당장은 원전 건설 중단이 전력 수급에 영향이 미치지는 않겠지만 신고리 5호기가 전력 수급에 반영되는 2021년 3월부터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재 공사 백지화를 놓고 공론화 작업 중인 신고리 5·6호기와 공사 초기 단계인 신한울 3·4호기, 천지 1·2호기에다가 7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된 1500㎿ 규모의 신규 원전 2기까지 포함하면 취소가 예상되는 원전 설비용량은 1만1600㎿로 늘어난다. 이는 2029년에 정부가 계획한 원전 발전량(3만8329㎿)의 30.2%에 달하는 수치다. 

이에 학계를 중심으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해 속도 조절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5일 60개 대학교 공과대학 교수 중심의 전임교수 417명이 참여한 '책임성 있는 에너지 정책수립을 촉구하는 교수 일동'은 "값싼 전기를 통해 국민에게 보편적 전력 복지를 제공해온 원자력 산업을 말살시킬 탈원전 정책의 졸속 추진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webmaster@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