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경제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제조업 체감 경기가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제조업의 업황 BSI는 78로 전월(82) 대비 4포인트 하락했다.
BSI는 기업을 대상으로 현재 경영 상황에 대한 판단과 향후 전망을 조사해 산출한 지수다. 긍정적인 응답을 한 업체와 부정적인 응답을 한 업체 비율이 같을 경우 지수는 100이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현재 상황보다 부정적으로 응답하는 경향이 있어 장기 평균은 100보다 낮게 나타난다.
제조업 업황 BSI는 지난 1월 75로 올라선 뒤 2월 76, 3월 79, 4월 83 등 4개월 연속 상승하다 지난 5월 82로 떨어졌다. 6월에는 78로 4포인트나 떨어졌다. 2개월 연속 하락한 것이다.
국제유가가 배럴 당 40달러대로 떨어지면서 수출 제품 가격 하락 우려가 커진 게 제조업 체감경기에 영향을 미쳤다. 지난 5월 평균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가 배럴당 50.6달러였으나 6월(1~20일) 47.3달러로 떨어졌다.
업종별로는 화학, 조선, 전자업종의 하락폭이 컸다.
화학업종은 국제유가 하락과 공급과잉에 따른 내수·수출 가격 하락 우려로 7포인트 하락했다.조선업종은 최근 수주회복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일감부족 현상 등으로 12포인트 하락했다. 전자업종도 휴대폰 수출부진과 LCD 수요둔화 등으로 4포인트 떨어졌다.
부분별로는 수출기업이 3포인트 하락해 2016년 10월 이후 8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내수기업도 4포인트 하락했다.
대기업은 4포인트 하락했고, 중소기업은 3포인트 하락했다.
비제조업 업황 BSI는 75로 4포인트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이 6포인트 하락했고, 도·소매도 5포인트 떨어졌다. 6·19부동산 대책에 따른 주택경기 위축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덕재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제조업과 비제조업 BSI가 각각 4포인트 하락했다"며 "국제유가와 부동산 대책 등 돌발변수에 기인한 측면이 있고 4개월 연속 상승에 따른 숨고르기 성향이 강하다. 정황상 단기조정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