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요금제, 통신비 인하 체감 효과 '의문'

2015.06.09 09:10:33

【stv 경제팀】=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요금제가 데이터 시대에 걸맞지 않고 통신비 인하 효과도 체감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이동통신 3사가 데이터 시대를 열겠다며 출시한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가입자가 9일 기준으로 총 200만명을 돌파했다.
 
이통사가 전면에 내세운 요금제는 2만9900원(부가세 별도)짜리 최저요금제다. 이 요금제 가입자는 무제한 유무선 통화와 데이터 300MB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 중심 요금제와는 거리가 먼 사실상 '음성 무한 요금제' 2탄 격이다. 무료 서비스 범위는 기존 무선전화에서 유선전화와 문자로 확대됐다.
 
반면 데이터 300MB(동영상 10분 분량)는 한 달을 보내기엔 부족한 양이다. 통신서비스의 발전과 함께 문자, 동영상 서비스 이용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IT업계 관계자는 "예를 들어 메신저를 이용할 때 문자 전송뿐 아니라 메신저 화면이 켜져 있을 때나 메시지를 확인할 때도 데이터는 소진된다"며 "여기에다 통신서비스가 3세대(G)에서 LTE로 진화해 데이터가 빠르게 오고 가면서 데이터 소진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고 말했다.
 
이통사는 요금제 2만9900원에 가입하면 음성통화가 공짜라고 말하지만, 이 역시 통신요금 인하로 연결짓기엔 무리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메신저 서비스 등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음성통화 사용량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IT업계 관계자는 "자영업, 택배 등 일부 직군을 제외하고 한 달 통화량이 200분(통신요금 코리아 인덱스 개발협의회 기준 지난해 한 달 평균 통화량 226분)이 넘는 가입자가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면서 "물가 상승률을 반영하고 아무리 통화를 많이 해도 3만원을 넘지 않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시장에선 데이터 중심 시대를 열고 통신요금 인하 효과를 체감하려면 요금제별 데이터 제공량을 늘리고 통화요금을 조정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시각이 많다.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