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우리민족끼리’ 포기?

2023.08.17 15:15:14

남한, “대한민국”으로 지칭…거리두기


【STV 차용환 기자】북한이 평소 사용하는 “우리민족끼리” 등 남북 특수관계를 상징하는 용어를 올해 거의 쓰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통일부에 따르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서 “우리민족끼리”라는 단어를 쓴 횟수는 지난해 5회에서 올해 0회로 줄어들었다.

“민족공조” 표현은 2020년부터 매년 한 번도 언급되지 않았고, “북남관계” 용어는 지난해 5회 사용됐지만 올해 2회로 감소했다.

“조국통일” 표현 또한 지난해 43회에서 올해 17회로 줄었다.

해당 용어들은 북한이 남북관계를 국가 대 국가가 아니라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로 바라보는 시각으로 해석됐다.

하지만 북한은 최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를 통해 “대한민국” 표현을 쓰면서 국가 대 국가로 접근하는 모습을 보였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조국통일, 우리민족끼리, 북남관계, 민족공조라는 용어 사용은 (김정은) 집권 초기와 비교하면 현격히 줄었다”며 “최근에도 예전 사례를 인용하며 어쩔 수 없이 언급한 것이지 의미를 두고 발화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당국자는 북한의 “대한민국” 호칭에 대해 “북한이 완전 2국가론으로 가며 북한 주도의 통일을 포기한 것이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며 “남북관계는 얻을 게 없다고 판단해 거리를 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이라는) 작은 단어 하나로 남쪽에 상당한 혼란을 초래했다는 측면에서 가성비 높은 선전·선동 수단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1일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방북을 거부하는 담화에서도 북한은 “입경” 대신 “입국”이라는 표현으로 국가 대 국가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



차용환 기자 tk2018@naver.com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