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21일 아들의 기업 입사지원서 논란과 관련해 “제 아들이 부적절한 처신을 한것은 전적으로 저의 불찰이라 생각한다”면서 “아버지로서 부족함이 있었다”라고 말했다.
김 수석은 이날 오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민정수석직에서 사퇴했다. 이로써 문재인 청와대 민정수석의 잔혹사는 이어지게 됐다.
초대 민정수석인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2년2개월간 민정수석으로 재직하며 부실 인사 검증과 특별감찰관 논란에 휩싸였다.
업무수행에 의문부호가 붙었으나 문 대통령의 신임 아래 법무부 장관으로 내정됐다. 하지만 자녀의 대학입시 특혜 의혹을 포함해 일가의 사모펀드 투자 의혹 등 각종 의혹이 무더기로 제기되며 임명 35일 만에 사퇴했다.
2대 김조원 전 민정수석은 부동산 문제로 사리에 물러났다.
김 전 수석은 청와대 참모들에게 ‘1주택 보유’ 권고에도 다주택을 유지하다 시중가보다 높은 가격에 주택을 내놓아 ‘꼼수 판매’ 구설수에 올랐다. 김 전 수석은 끝내 주택을 팔지 않고 물러나며 문재인 정권이 표방해온 ‘공정·청렴성’에 치명타를 가했다.
3대 김종호 전 민정수석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간의 극한 갈등을 전혀 조율하지 못하고 4개월 만에 물러났다.
4대 신현수 전 민정수석도 임명 두 달 만에 물러났다.
신 전 수석은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검찰 고위간부 인사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패싱 당해 논란이 불거졌다.
김 수석이 불러나면서 임기가 3개월 남은 문재인 정권의 민정수석은 새로 임명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