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 차용환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90여일을 앞두고 무리하게 종전선언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호주와 미묘한 이견을 드러냈다.
문 대통령은 13일 정상회담에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중국에 대한 견제 등 역내 평화·안정 방안에 대해 온도 차를 보였다.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후 열린 공동기자회견에서 중국에 대한 직접적 언급은 삼갔다.
하지만 모리슨 총리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국의 존재를 비판하고 한국이 일정한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했다.
두 정상은 기자회견에서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두 나라 간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하지만 대중국 견제의 방향에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호주는 미국에 이어 내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했음을 알렸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보이콧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못을 박았다.
미국이 선제적으로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한 후 동맹국들의 보이콧 선언이 이어지고 있지만 문 대통령은 이에 대한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중국이 민감한 안보 사안으로 여기는 양안(兩岸·중국과 대만) 관계에 대해서 입장을 밝혀달라는 질문에 문 대통령은 “양안 관계가 대화를 통해 평화롭게 발전해 가길 기대한다”라면서 핵심을 피해갔다.
종전선언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이 “관련국인 미국과 중국 그리고 북한이 모두 원론적인, 원칙적인 찬성 입장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에 반면 모리슨 총리는 “타협을 해선 안 되는 것이 있다. 바로 자유와 안정을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모리슨 총리의 답변으로 한·호 정상회담에서 미묘한 견해차가 포착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