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V]구직자, 취업 양극화 심화

2012.04.24 12:19:47

구직자 90%, 취업 양극화 체감해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도 될 사람은 다 된다?

 

한번의 면접 기회조차 얻기 힘들어 장기간 취업활동을 하는 구직자가 있는 반면, 복수의 기업에 합격해 원하는 곳을 골라 취업하는 구직자가 있는 등 취업에도양극화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대표 이정근)이 구직자 1,976명을 대상으로구직활동을 하며 취업 양극화 현상을 체감한 적 있습니까?”라고 설문한 결과, 90%있다라고 밝혔다.

 

이를 대학 소재지 별로 살펴보면지방 사립대학’(92.4%) 구직자들이 가장 많이 체감했고, ‘SKY 등 주요 명문 대학구직자는 74.4%로 가장 적었다.

 

취업 양극화는높은 자격조건에 지원조차 할 수 없을 때’(60.1%, 복수응답) 주로 체감하고 있었다. 계속해서인맥으로 취업하는 사람을 볼 때’(47.1%), ‘학벌 등으로 필터링 한다는 말을 들을 때’(44.5%), ‘기업에 따라 연봉 차이가 심할 때’(44.1%), ‘취업과 생활비 마련을 함께 고민해야 할 때’(39.7%), ‘기업에 따라 복리후생 차이가 심할 때’(31.7%), ‘중복 합격해 골라서 입사하는 사람을 볼 때’(26.1%), ‘서울, 수도권에 일자리가 집중될 때’(24.7%), ‘해외유학, 연수 등을 가지 못할 때’(23.6%) 등이 있었다.

 

양극화의 요인으로는학벌’(30%)을 첫 번째로 꼽았다. 뒤이어학력’(12.1%), ‘외국어 능력’(12%), ‘인맥’(10.7%), ‘나이’(9.7%), ‘부모님 능력’(7.2%), ‘소득 수준’(6.4%) 등을 선택했다.

 

이러한 양극화로 인해 응답 구직자의 무려 99.8%가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양극화 체감이 구직활동에 미치는 영향으로는집중력이 떨어진다’(46.8%, 복수응답)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현실적이고 명확한 취업 목표를 세우게 된다’(36%), ‘지인 소개 등으로 쉽게 취업할 방법을 찾게 된다’(23.9%), ‘취업을 거의 포기하게 된다’(21%), ‘자극 받아 더 열심히 준비하게 된다’(17.2%) 등의 영향이 있었다.

 

그렇다면, 취업 양극화를 극복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을까?

 

구직자들은보다 많은 입사지원’(49.9%, 복수응답)을 주로 하고 있었으며, 이외에도마인드 컨트롤’(41.3%), ‘자격증 취득’(37.8%), ‘외국어 공부’(36.5%), ‘인맥 쌓기’(15.7%), ‘인턴 등 다양한 경험’(15%)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구직자의 높은 눈높이와 스펙만으로 인재를 평가하는 채용 기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취업시장의 양극화를 야기시키고 있다.”라며스펙이 곧 능력이라는 생각과 대기업 입사를 성공의 잣대로 삼는 사회적 인식이 바뀌어야 양극화 문제가 해결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인숙 기자 news7@stv.or.kr

 www.stv.or.kr



STV
Copyright @2007 STV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STV ㅣ 사업자등록번호 : 298-86-00066 서울 영등포구 국회대로68길23, 902 ㅣ 대표전화 : 02-6264-4114 팩스 : 02-6442-5113 등록번호 : 서울아00455(2007.11.8) /발행인: 박상용